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캐즘에 주춤하는 K-양극재…줄줄이 실적 악화

글로벌이코노믹

캐즘에 주춤하는 K-양극재…줄줄이 실적 악화

포스코퓨처엠 지난해 영업익 7억원 실현
LG화학, 엘앤에프, 에코프로도 실적 악화
포스코퓨처엠 광양 양극재 공장 전경. 사진=포스코퓨처엠이미지 확대보기
포스코퓨처엠 광양 양극재 공장 전경. 사진=포스코퓨처엠
국내 양극재 제조업체들이 부진에 빠졌다. 지난해 전기차 캐즘(일시적 수요 침체)과 판매가격 하락이 겹친 영향이다. 업황 회복 시점이 불투명한 상황이 이어지는 만큼 양극재 업체들의 어려움은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3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포스코퓨처엠은 지난해 전년 대비 98% 줄어든 7억원의 영업이익을 실현했다. 매출은 3조6999억원으로 22.3% 감소했다. 지난해 4분기에는 매출 7232억원, 영업손실 413억원을 기록했다.

이 중 배터리 소재 사업은 지난해 369억원의 영업손실을 냈다. 양극재 사업은 리튬·니켈 등 주요 원료 가격 하락으로 판매가가 크게 하락하며 매출은 전년 대비 30.4% 감소한 2조1856억원을 기록했다. 음극재 사업은 가동 초기 높은 제조단가로 인한 재고 평가손실이 반영되어 30.4% 감소한 1543억원의 매출을 올렸다. 영업이익은 적자 전환했다.

업황 악화에 휘청이는 곳은 포스코퓨처엠뿐만이 아니다. LG화학, 엘앤에프, 에코프로비엠 등 다른 양극재 제조업체들도 실적이 나빠졌다. LG화학 첨단소재 사업은 지난해 4분기 영업이익 480억원을 달성했다. 직전 분기와 비교해 68% 급감했다. 엘앤에프는 지난해 영업손실 5102억원을 실현했다. 11일 실적 발표를 앞둔 에코프로비엠도 적자가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에코프로비엠은 지난해 3분기 영업손실 201억원을 기록하며 적자 전환했다.
양극재 업체들의 실적이 역성장한 것은 수요가 부진한 상황에서 광물 가격이 떨어지며 제품 판가가 하락해서다. 런던금속거래소(LME)에 따르면 올해 들어 수산화리튬 가격은 t당 평균 9400달러대에 머물고 있다. 지난해 2월 t당 평균 1만3000달러였던 것과 비교해 28%가량 하락했다. 수산화리튬은 국내 배터리 업체들이 주력으로 삼는 니켈·코발트·망간(NCM) 등 고밀도·고용량을 필요로 하는 배터리에 사용된다.

업계는 양극재 업체들의 부진이 올해에도 이어질 것으로 전망했다. 업계 관계자는 "전방 시장 회복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정희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jh1320@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