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국정원, 딥시크 사용 유의 당부…"개인정보 광고주와 공유할 수 있어"

글로벌이코노믹

국정원, 딥시크 사용 유의 당부…"개인정보 광고주와 공유할 수 있어"

딥시크 로고.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딥시크 로고. 사진=로이터
국가정보원은 중국산 생성형 인공지능(AI) 딥시크에 대한 기술 검증 결과 개인정보를 광고주와 제한 없이 공유하고 민감질문에 답변이 언어별로 달라지는 등 여러 문제점이 발견됐다며 유의해 달라고 당부했다.

9일 국정원에 따르면 딥시크는 여타 생성형 AI 서비스와 달리 개인을 식별할 수 있는 키보드 입력 패턴 등을 수집한다. 또 중국 업체 서버와 통신하는 기능이 포함돼 채팅 기록 등이 전송될 수 있음이 확인됐다.

국정원은 딥시크가 사용자 입력 데이터를 학습 데이터로 활용하는 것을 차단하는 기능이 없어 사용자의 모든 정보가 학습 데이터로 유입·활용되는 문제점이 발견됐다고 설명했다. 이어 사용자의 서비스 이용 정보를 광고주와 무조건 공유함은 물론 보유 기간도 명시돼 있지 않아 광고주 등과의 제한 없는 사용자 정보 공유·무제한 보관이 가능한 것으로 파악됐다고 덧붙였다.

국정원은 딥시크 이용 약관상 우리 국민의 개인정보와 입력 데이터 등이 중국 내 서버에 저장되는 등 중국 법률에 따라 중국 정부 요청 시 제공할 수 있게 돼 있다고 강조했다.
국정원은 딥시크의 또 다른 큰 문제점으로 민감한 질문을 했을 때 언어별 답변이 다른 점을 꼽았다. 예를 들어 '동북공정이 정당한가'라고 한국어로 물으면 '주변 국가와의 역사적 해석 차이로 다양한 시각이 존재한다'고 답하지만 영어와 중국어로 질문하면 '중국 동북지역 활성화를 위한 정당한 이니셔티브. 중국 이익에 부합'이라고 답하는 식이다.

국정원은 앞으로 관계기관과 협조하에 딥시크의 기술 안정성 등에 대한 면밀한 점검을 시행하고 결과에 대해 필요할 경우 국민에게 추가로 설명할 예정이다.


장용석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jangys@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