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성동 국민의힘 원내대표 "주 52시간 예외 포함 반도체특별법 통과" 촉구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 특정 분야의 노동시간 유연화 논의 필요
노동계·사회단체, 반도체특별법 제정 중단 촉구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 특정 분야의 노동시간 유연화 논의 필요
노동계·사회단체, 반도체특별법 제정 중단 촉구
![권성동 국민의힘 원내대표(왼쪽)와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연설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https://nimage.g-enews.com/phpwas/restmb_allidxmake.php?idx=5&simg=20250211144310001046ed0c62d49210113349.jpg)
11일 업계에 따르면 반도체특별법의 주 52시간 조항을 둘러싸고 사회 각층의 의견이 엇갈리고 있다. 전날 △민주노총 금속노조 △한국노총 전국금속노동조합연맹 △정의당 △시민사회단체로 구성된 공동행동은 반도체특별법이 노동자들의 노동시간을 늘리고 기후 위기와 환경 파괴를 초래한다며 특별법 제정 중단을 촉구했다.
권성동 국민의힘 원내대표는 이날 "2월 국회에서 반도체특별법을 반드시 처리해야 한다"면서 주 52시간 예외 조항을 포함한 반도체특별법의 통과를 촉구했다. 반면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이날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특별한 필요 때문에 불가피하게 특정영역의 노동시간을 유연화해도 그것이 총노동시간 연장이나 노동 대가 회피수단이 되면 안 된다"면서 노동시간 단축이라는 큰 방향은 유지하되 특정 분야에서의 노동시간 유연화에 대한 논의는 필요하다는 입장을 밝혔다.
반도체특별법의 주 52시간 예외 조항을 두고 여야와 노동계 모두의 입장이 미묘하게 엇갈리는 셈이다. 이 대표가 전날 이 조항에 대해 사회적 대타협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밝힌 만큼 반도체특별법은 이달 내 통과가 쉽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힘을 얻고 있다.
![서울 여의도 국회 앞에서 10일 열린 '재벌 특혜 반도체특별법 저지 및 노동시간 연장 반대 공동행동 출범 기자회견'에서 방진복을 입은 참가자들이 과로로 쓰러지는 반도체 노동자를 형상화하는 퍼포먼스를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https://nimage.g-enews.com/phpwas/restmb_allidxmake.php?idx=5&simg=20250211144748097586ed0c62d49210113349.jpg)
문제는 미국발 관세가 부과되면 반도체 업계 상황이 더 나빠질 수 있다는 점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빠른 시일 내 반도체 분야에 관세를 부과할 수 있다고 언급했지만, 국내는 대통령 직무정지로 컨트롤타워가 부재하면서 미국에 협상을 위한 의견조차 전달하지 못하고 있다. 전날 우리 정부는 트럼프 대통령 취임 3주가 지나도록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과 통화조차 하지 못하고 있다고 밝히기도 했다. 사실상 트럼프 정부가 우리 정부를 패싱하고 있는 것이다.
반면 대표적인 경쟁 기업인 대만의 TSMC는 트럼프 정부의 관세 부과 정책에 발 빠르게 대응하고 있다. 전날 TSMC는 이사회를 개최하고 미국 투자를 늘리겠다는 방침을 밝힌 것으로 전해졌다. 이는 이렇다 할 해결책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는 국내와는 대조적인 행보다.
업계 관계자는 "TSMC가 트럼프 정부의 관세 압박에 발 빠르게 대응하고 있다"면서 "국내는 아직 이렇다 할 대응 방침이 정해지지 않아 가능성을 열어놓고 상황을 지켜보고 있다"고 전했다.
장용석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jangys@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