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전기차 배터리 안전성, 정부가 직접 인증

글로벌이코노믹

전기차 배터리 안전성, 정부가 직접 인증

왼쪽상단부터 시계방향으로 아이오닉5, 아이오닉6, EV9, EV6. 사진=현대차그룹이미지 확대보기
왼쪽상단부터 시계방향으로 아이오닉5, 아이오닉6, EV9, EV6. 사진=현대차그룹
앞으로 전기차 배터리 안전성을 정부가 직접 시험을 통해 인증한다.

16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정부가 전기차 배터리 안전성을 직접 인증하고, 개별 배터리 식별 번호를 부여해 생산부터 폐기까지 전 주기를 관리하는 이력관리제를 17일부터 시행한다.

그동안 전기차는 배터리를 제작사가 직접 안정성을 인증하는 자기인증 방식을 거쳐 제작·판매됐다.

하지만 최근 잇단 전기차 화재로 배터리 안전성에 대한 불안이 커지면서 정부가 지난해 10월부터 전기차 배터리 인증제 시범 사업을 진행했고 하위법령을 통해 세부 절차 등을 마련해 이달부터 시행키로 했다.
국토부 관계자는 “자기인증 제도 시행 후 20여 년 만에 바뀐 이번 제도로 정부가 배터리와 같은 신기술에 대한 안전성을 사전에 확보하고 신기술 도입에 따른 위험부담도 정부가 업계와 분담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설명했다.

배터리 인증제와 함께 도입되는 배터리 이력관리제는 제작시 개별 배터리에 식별번호를 부여하고 이를 자동차등록원부에 등록하게 해 전기차 배터리의 제작부터 운행, 폐기까지 전 주기 배터리 이력을 관리하는 제도다.

17일 이후 전기차를 새로 구입하는 경우 자동차등록원부에 배터리 식별번호가 표시된다. 배터리 식별번호를 바탕으로 정부는 배터리 안전성 인증 등 제작 단계 주요 정보를 포함해 전기차 운행 중 해당 배터리의 정비, 검사 이력 등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전기차 화재 등 사고 발생 시 신속한 원인 분석이 가능해지는 등 배터리 안전성이 제고될 것으로 기대된다.

배터리 교환 시에도 교환된 배터리 식별번호를 변경 등록하도록 해 배터리 이력을 촘촘하게 추적 관리하고 자동차 리콜로 배터리가 교환되는 경우에는 자동차 결함 정보시스템을 통해 변경된 배터리 식별번호가 연계돼 등록되도록 하는 등 전기차 소유주 불편은 최소화할 방침이다.

국토부는 이같은 배터리 이력 관리 시스템을 2027년까지 구축해 향후 사용 후 배터리 등 연관 산업도 활성화해 나갈 계획이다.


조용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yccho@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