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 부사장, 새로운 다이싱 장비 도입…패키징 중요성 강조
이 부사장, 메모리 반도체의 미래 제시…상호 협력 필요성 강조
이 부사장, 메모리 반도체의 미래 제시…상호 협력 필요성 강조

18일 업계에 따르면 현상진 삼성전자 부사장과 이재연 SK하이닉스 부사장은 이날 서울 삼성동 파르나스 호텔에서 개최된 ITF 코리아 기조연설자로 나서 향후 전략을 설명했다. 현상진 부사장은 'AI시대를 위한 반도체 공정 개발'을 주제로 "삼성전자가 차세대 패키징 기술을 위해 레이저 등을 활용한 새로운 다이싱 장비 도입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수율 극대화를 위해 더 높은 수준의 패키징 기술이 필수"라면서 본딩 기술의 중요성에 대해 강조했다. 현 부사장은 “본딩 기술은 반도체 기술 개발의 핵심 과정으로 생태계를 통해 칩과 칩을 연결하는 방법에 대해 정보를 공유하는 등 협업을 통해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는 기술을 구축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삼성전자는 앞으로도 제조업체 등 주요 이해관계자들과 긴밀히 협력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그의 말처럼 이날 글로벌 반도체연구기관 아이멕의 반덴 호브 최고경영자(CEO)는 이 회장과 만나 향후 협력방안을 논의하겠다는 의중을 밝히기도 했다. 특히 삼성전자가 고대역폭메모리(HBM) 분야에서 경쟁 기업인 SK하이닉스에 점유율에서 뒤지고 있는 만큼 메모리 분야에서 AI 기술개발을 더욱 강화하겠다는 의지가 엿보이는 대목이다.
이 부사장은 이머징 메모리에 대한 기대감도 내비쳤다. 그는 "이머징 메모리가 AI시대를 이끌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겠다"며 "이전 연구개발(R&D)에 비해 현재 R&D는 고려해야 할 것들이 많기 때문에 성공적인 혁신을 위해서는 개방적이고 선 경쟁적인 협업이 필연적"이라고 지적했다.
이는 현 부사장과 이 부사장의 의견이 일치하는 부분이다. 결국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모두 향후 기술 주도권을 위해 다양한 기관들과 기술협력을 전개할 가능성을 암시한 셈이다.
이러한 가운데 19일부터 21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국내 최대 반도체 산업 전문 전시회 ‘세미콘 코리아 2025’에 송재혁 삼성전자 DS부문 최고기술책임자(CTO)가 기조연설을 통해 보다 구체적인 정보를 공개할 예정이다.
장용석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jangys@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