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에 이어 2년 연속 흑자 달성, 2년 연속 흑자 기록은 2004년 이후 20년 만 성과
수출은 2014년 이후 10년 만에 최대 실적 기록, 2023년 대비 18.2% 증가
KGM, "다양한 신모델 출시 통해 흑자 규모 더욱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수출은 2014년 이후 10년 만에 최대 실적 기록, 2023년 대비 18.2% 증가
KGM, "다양한 신모델 출시 통해 흑자 규모 더욱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이러한 실적은 액티언 등 신모델 출시와 글로벌 시장 공략 확대를 통한 수출물량 증가와 함께 토레스 EVX 판매에 따른 CO₂페널티 환입과 환율 효과, 그리고 생산성 향상 등 원가절감 노력에 힘입어 지난 2023년에 이어 2년 연속 흑자를 기록한 것이다.
2년 연속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 등 흑자를 기록한 것은 지난 2003년과 2004년 이후 20년 만의 성과다. KGM은 KG 가족사로 새롭게 출발한 이후 흑자 기조를 유지하며 경영정상화의 기반을 탄탄히 다지고 있다. 올해는 그 흑자 규모를 네 자릿수 이상으로 더욱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2024년 판매는 내수 시장 경기 침체에 따른 소비심리 위축 등으로 2023년 대비 5.7% 감소했다. 수출은 지난해 12월(8147대) KGM 역대 월 최대 판매를 달성하는 등 2014년(7만2011대) 이후 10년 만에 최대 실적을 기록하며 2023년(5만2754대) 대비 18.2% 증가했다.
KGM은 올해 이러한 흑자 규모를 늘리기 위해 국내.외 시장에 대한 신모델 출시 확대 등 공격적으로 시장 대응에 나설 계획이다.
KGM 관계자는 “수출 물량 확대와 CO₂페널티 환입 등으로 20년 만에 2년 연속 흑자를 기록하며 경영정상화의 기반을 다지고 있다”며 “올해 역시 튀르키예 시장 액티언 론칭을 시작으로 글로벌 시장 진출 확대와 무쏘 EV와 토레스 하이브리드 등 다양한 신모델 출시를 통해 판매 물량 증대와 함께 흑자 규모를 더욱 확대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나연진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rachel0807@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