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김동명 LG엔솔 사장 "中 BYD 급속 충전 우리도 가능해"

글로벌이코노믹

김동명 LG엔솔 사장 "中 BYD 급속 충전 우리도 가능해"

김동명 LG에너지솔루션 사장이 20일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 LG트윈타워에서 열린 제5기 정기주주총회에서 주주들에게 향후 사업 계획에 대해 발표하고 있다. 사진=LG에너지솔루션이미지 확대보기
김동명 LG에너지솔루션 사장이 20일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 LG트윈타워에서 열린 제5기 정기주주총회에서 주주들에게 향후 사업 계획에 대해 발표하고 있다. 사진=LG에너지솔루션
김동명 LG에너지솔루션 사장이 20일 최근 중국 배터리 제조업체인 BYD가 공개한 초급속 충전 기술을 견제하며 "우리도 개발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내비쳤다.

김 사장은 이날 오전 서울 영등포 여의도 LG트윈타워에서 열린 제5기 정기주주총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최근 BYD가 잘하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러면서 "기술이라는 것은 항상 코스트(비용)하고 맞물려야 되는 것"이라며 "BYD의 경우 배터리하고 차량을 다 만들고 있다. 그래서 비용 최적화가 쉽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했다. 이어 "그럼에도 언터처블한 기술은 아닌 것 같다"며 "문제는 가격"이라고 설명했다. 앞서 BYD는 슈퍼 e플랫폼 기술을 출시했다. 5분 충전으로 400㎞를 주행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2030년 전고체 배터리 양산 일정도 재확인했다. 김 사장은 "다른회사보다 늦게 시작한 것은 맞다. 다만 전고체 배터리가 굉장히 어려운 기술이고 또 이를 양산하려면 디자인보다는 양산 기술이 더 중요하다"며 "양산 기술과 병행해서 진행을 해서 실질적인 선두에 서겠다"고 했다.
또 이날 김 사장은 최근 미국 애리조나 법인이 40기가와트시(GWh) 규모 46파이(지름 46㎜) 배터리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고 깜짝 발표했다. 김 사장은 "며칠 전 애리조나 법인에서 다년간 연 10GWh 규모 46시리즈 원통형 전지를 공급하는 계약을 마무리했다"며 "기존에 우리 원통형 에너지를 많이 써왔던 고객사가 아니라 '레거시 업체(전통 기업)'에서 사용하게 된 것이 가장 큰 포인트"라고 했다.

하지만 어느 고객사와 계약을 맺었는지 등 구체적인 내용에 대해서는 말을 아꼈다. 지난해 LG에너지솔루션은 독일 메르세데스-벤츠 계열사와 미국 전기차 제조업체인 리비안과 각각 원통형 배터리 공급 계약을 맺은 바 있다.

한편 이날 열린 주총에서는 제5기 재무제표 승인의 건, 이사 선임의 건, 이사 보수 한도 승인의 건 등 총 3개 안건 모두 원안대로 의결됐다.


김정희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jh1320@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