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미 수출기업과 제3국 영향 못 피해
배터리·자동차가 영향 가장 커
배터리·자동차가 영향 가장 커

1일 대한상공회의소가 발표한 '우리 제조기업의 미국 관세 영향 조사'에 따르면 전국 제조업체 2107개사 중 60.3%가 트럼프발(發) 관세 정책의 직·간접 영향권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간접 영향권에 있다’고 응답한 기업이 46.3%, ‘직접 영향권에 있다’는 응답은 14.0%를 차지했다.
영향권에 든 기업 유형으로는 ‘미국 수출기업에 부품·원자재 납품하는 기업’(24.3%)과 ‘미국에 완제품 수출하는 기업’(21.7%)이 가장 비중이 컸다. 이어 △중국·멕시코·캐나다를 제외한 제3국 수출·내수기업(17.9%) △미국향(向) 부품·원자재 수출기업(14.2%) △중국향 부품·원자재 수출기업(13.8%) 등이 뒤를 이었다.
업종별로 직·간접 영향권에 들었다는 비중은 배터리와 자동차·부품이 각각 84.6%, 81.3%로 가장 많았다. 대한상의는 "미국에 진출한 우리 대기업에 부품, 소재 등 중간재를 납품하는 협력사들이 많이 포함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뒤이어 △반도체(69.6%) △의료정밀(69.2%) △전기장비(67.2%) △기계장비(66.3%) △전자·통신(65.4%) 순으로 나타났다. 기업규모별로는 ‘대기업’(76.7%), ‘중견기업’(70.6%), ‘중소기업’(58.0%) 순으로 집계됐다.

한국 기업들은 미국 관세 부과의 영향으로 ‘납품물량 감소'(47.2%)를 가장 많이 우려했다. 대한상의는 미국에 직접 수출하지 않더라도 간접 영향권에 속한 기업이 많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했다. ‘고율 관세로 인한 수익성 악화’(24.0%)는 미국으로 직접 수출하는 기업들이 주로 꼽았다.
하지만 기업들의 대응 수준에 관한 질문에 △동향 모니터링 중(45.5%) △생산비용 절감 등 자체 대응책을 모색 중(29.0%) 등 제한적이라는 응답이 74.5%에 달했다. 영향권에 든 중소기업 4곳 중 1곳은 ‘대응계획이 없다’(24.2%)고 답했다.
김현수 대한상의 경제정책팀장은 "본격적으로 미국 관세가 현실화되고 있는 가운데 우리 제조기업들은 대미 수출뿐만 아니라 중국의 저가공세 등의 간접영향까지 더해져 경영상 큰 타격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며 "민간 네트워크와 외교 채널을 통해 관세 영향 최소화에 힘쓰고 피해 업종에 대한 지원책을 세우는 한편, 장기적으로 관세와 같은 대외리스크를 이겨낼 경쟁력을 기르기 위해 우리나라의 기업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노력도 지속돼야 한다"고 말했다.
정승현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jrn72benec@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