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국내 최초 전기 픽업 ‘무쏘 EV’... 픽업 시장 변화 예고

글로벌이코노믹

국내 최초 전기 픽업 ‘무쏘 EV’... 픽업 시장 변화 예고

KGM 무쏘 EV 최상위 트림 블랙엣지 사진=KG 모빌리티이미지 확대보기
KGM 무쏘 EV 최상위 트림 블랙엣지 사진=KG 모빌리티
KG 모빌리티가 지난 9일 경기도 평택 KGM 익스피리언스 센터에서 미디어 대상 국내 최초 전기 픽업트럭 ‘무쏘 EV’ 시승 행사를 개최했다.

KG모빌리티는 2002년 무쏘 스포츠를 시작으로 4세대 픽업 라인업을 선보이며 국내 픽업 시장을 개척해왔다. 이번 무쏘 EV를 계기로 픽업 전용 브랜드 ‘무쏘’를 새롭게 출범했으며, 기존 렉스턴 스포츠와 칸도 각각 ‘무쏘 스포츠’, ‘무쏘 칸’으로 리브랜딩된다.

무쏘 EV는 정통 픽업의 유산을 잇되 도심 주행과 일상 활용까지 고려한 실용형 픽업으로 설계된 것이 특징이다. KGM 관계자는 “SUV 대체제로도 선택받을 수 있도록 2열 공간에 특히 신경 썼다”며, “기존 픽업보다 넓은 타깃층을 아우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낮은 전고와 넓은 전폭은 도심 주행의 안정감까지 고려한 설계다.

이번 무쏘 EV의 최상위 모델은 블랙 색상을 입힌 블랙엣지 트림이다. 블랙 휠과 휠아치, 사이드미러, 엠블럼 등 주요 외관 요소를 블랙 컬러로 통일해 고급스럽고 강인한 인상을 준다. 전면은 점선 형태의 LED 주간주행등(DRL)과 입체적인 범퍼 디자인, 측면의 간결한 캐릭터 라인과 루프랙, 후면의 볼드한 리어램프와 스텝 범퍼 등이 어우러져 견고하면서도 세련된 인상을 완성했다.
실내는 12.3인치 디지털 클러스터와 내비게이션이 연결된 파노라마 와이드 디스플레이가 중심을 이룬다. KGM의 차세대 인포테인먼트 플랫폼 ‘아테나 2.0’을 적용해 UI 반응 속도와 직관성이 크게 향상됐으며, 무선 소프트웨어 업데이트와 전용 앱 'KGM 링크'를 통한 원격 제어 기능도 제공한다. 블랙엣지 트림에는 블랙&브라운 투톤 인테리어와 엠비언트 라이트가 적용돼 고급감을 더했고, 더블디컷 스티어링 휠은 시각적 완성도는 물론 그립감도 우수하다.

2열 공간은 픽업트럭에서 보기 드문 수준으로, 중형 SUV 수준인 850mm 커플 디스턴스를 확보해 무릎 공간이 넉넉하다. 80mm 슬라이딩 기능과 32도 리클라이닝 기능이 적용돼 실사용성도 높였다. 헤드룸도 1002mm로 동급 최고 수준이다.

무쏘 EV는 최대 500kg 적재가 가능한 데크를 갖췄다. 8개의 고정용 후크, 리어스텝, 데크 램프, 컵홀더형 테일게이트 등 활용도 높은 기능들이 기본 탑재돼 있으며, 최대 200kg 하중을 견딜 수 있어 야외 활동 시 간이 좌석처럼 활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에 아웃도어, 클린데크, 스타일업 등 3가지 테마의 커스터마이징 패키지를 제공하며, 추후 슬라이딩 베드와 데크 디바이더 같은 액세서리도 추가될 예정이다.

KG 모빌리티는 무쏘 EV의 사전계약을 진행 중이다. 반응도 긍정적이다. 지난달 21일 무쏘 EV 출시 직후 6일간 접수된 사전계약 물량만 2100대를 돌파했다. 한 관계자는 “시장 반응이 기대 이상이며, 실용성과 가격 경쟁력을 갖춘 전기 픽업을 찾는 수요가 많다는 것을 체감했다”며 "올해 무쏘 EV를 포함한 국내 픽업 시장 판매 예상치 약 3만5000대 규모에서 2만대 판매를 목표로 설정했다"고 설명했다.

무쏘 EV의 가격은 기본형 기준 MX 트림 4800만원, 블랙엣지 트림 5050만원이며, 전기차 보조금을 적용할 경우 3000만원 중반부터 실 구매가가 형성된다.
KGM은 “5년 기준 운영비 절감 효과가 약 1500만 원에 달한다”고 밝혔다.

전동화 기술을 접목한 무쏘 EV는 도심형 픽업이라는 새로운 카테고리의 서막을 열며, 국내 픽업 시장에 또 한 번 변화를 예고하고 있다.

지난 9일 KG 모빌리티가 미디어 대상으로 진행한 '무쏘 EV' 시승 행사에서 곽용섭 홍보 팀장이 사전 제품 설명을 진행하고 있다. 사진=이정경 기자이미지 확대보기
지난 9일 KG 모빌리티가 미디어 대상으로 진행한 '무쏘 EV' 시승 행사에서 곽용섭 홍보 팀장이 사전 제품 설명을 진행하고 있다. 사진=이정경 기자



이정경 기자 junglee@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