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중고차 시장 문 다시 연 대기업…격변 예고된 '생존 경쟁'

글로벌이코노믹

중고차 시장 문 다시 연 대기업…격변 예고된 '생존 경쟁'

5월 중고차 점유율 제한 해제...현대차·기아 등 중고차 사업 확대 '시동'
규제 완화로 중고차 시장 재편 '시작'..."정부 차원의 정책적 보완 필요"
문학훈 교수 "중소업체들 대기업의 자본력·인지도 따라가기엔 높은 산"
오는 5월부터 중고차 점유율 제한이 공식 해제된다. 사진=연합뉴스이미지 확대보기
오는 5월부터 중고차 점유율 제한이 공식 해제된다. 사진=연합뉴스
다음달 말 부터 중고차 점유율 제한이 풀리면서 대기업들의 중고차 시장 진출이 가능해진다. 중고차 시장이 대기업 진입 문턱이 낮아지면서 격변기를 맞을 것으로 예고된다. 기존 중고차 중소 업체들은 거래 투명성과 품질 보증을 앞세운 대기업들의 시장 진출에 대해 기대와 우려가 엇갈린 반응을 보이고 있는 상황이다.

15일 업계에 따르면 중고차 시장 점유율 제한이 공식 해제되는 시점인 5월부터 현대자동차·기아·KG모빌리티(KGM)·비야디(BYD) 등 완성차 대기업들이 중고차 시장 공략에 본격 시동을 걸 전망이다. 중고차 판매업은 2013년부터 중소기업 적합 업종으로 지정돼 대기업들의 시장 진출이 어려웠다. 대기업들은 다음 달 점유율 제한 해제로 공격적으로 사업을 확대해 나갈 것으로 보인다.

대기업 중고차 시장 진출이 본격화되면 중고차 거래의 투명성과 소비자 신뢰도가 높아질 것이라는 기대가 나오고 있다.

다만, 기존 중고차 업체들의 위기감도 높아지고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공존한다. 일부 중소업체들은 생존을 위한 자구책 마련에 나섰다. 문학훈 오산대 자동차학과 교수는 "중고차 시장이 과거보다는 거래가 투명해지고 품질도 좋아졌지만 대기업들의 자본력과 브랜드 인지도·신뢰도를 따라가기엔 여전히 높은 산"이라고 말했다. 이어 "중소 업체들이 대기업들과의 경쟁에서 살아남기 위해서는 거래의 투명성을 위해 지금보다 더욱 노력하고 같은 품질이라도 가격을 대폭 낮추는 등의 전략으로 대응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전문가들은 이번 규제 완화를 중고차 시장 재편의 시작으로 보고 있다. 문 교수는 “대기업이 무리하게 시장을 잠식하는 일이 없도록 초기엔 점유율 추이에 대한 모니터링이 필요하다”며 “중소업체와의 공정 경쟁이 가능한 환경을 만드는 정부 차원의 정책적 보완도 뒤따라야 한다”고 설명했다.

문 교수는 "현재 업계에서는 중고차 성능·품질·종합 검사가 다소 부족하다고 생각한다"며 "정부 차원에서 중고차 검사를 더 세밀화하는 법안을 강화해야 할 것"이라고도 강조했다.


나연진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rachel0807@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