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인니·베트남 법인 방문해 HVAC 등 B2B 사업 강화 주문…인도방문 이후 3개월 만

21일 업계에 따르면 조 사장은 최근 주요 경영진들과 LG전자 인도네시아와 베트남 법인을 방문해 현지 시장 상황을 점검했다. 3개월전 조사장이 인도법인을 방문한 점을 고려하면 글로벌 사우스 지역을 연달아 방문한 셈이다. 글로벌 사우스 지역은 인도와 인도네시아, 베트남 등 성장 잠재력이 큰 신흥시장을 말한다. 동남아시아를 포함해 중남미, 중동·아프리카 등이 속한다.
조 사장은 이번 방문에서 △냉난방공조(HVAC) △상업용 디스플레이 △고효율 시스템 등 B2B 사업의 중요성을 강조한 것으로 알려졌다. 조 사장이 글로벌사우스 지역에서 B2B 사업강화에 나서는 이유는 동남아지역을 중심으로 HVAC 사업 기회가 빠르게 확대되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 구글, 마이크로소프트(MS) 등 빅테크기업들은 동남아 지역을 중심으로 데이터센터 등에 대규모 투자를 진행하고 있다. 이에 따라 HVAC 등 LG전자가 추진중인 B2B 등의 신사업 수요도 늘고 있다. LG전자는 최근 싱가포르 초대형 물류센터에 고효율 상업용 시스템 에어컨 '멀티브이 아이'를 공급계약을 체결하기도 했다.
글로벌 사우스지역에 대한 투자도 아끼지 않고 있다. 현재 기업공개(IPO)를 추진중인 인도에선 남부 안드라프라데시주 스리시티에 현지 3공장 건설도 추진중이다. 이곳에선 세탁기·에어컨·냉장고·TV 등이 생산될 예정이다.
LG전자는 글로벌사우스 지역 사업을 더욱 강화한다는 전략이다. 조 사장은 지난달 주주총회에서 "올해부터 기존 성장전략에 '지역'이라는 전략의 축을 더해 성장 잠재력이 높은 유망 지역에서의 성장 가속화를 추진할 것"이라며 "글로벌 사우스로 대표되는 신흥시장의 성장 잠재력과 사업 기회 발굴에 집중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장용석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jangys@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