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日·中·臺 방문한 젠슨황 엔비디아 CEO, 한국만 빼 놨다

글로벌이코노믹

日·中·臺 방문한 젠슨황 엔비디아 CEO, 한국만 빼 놨다

젠슨황 CEO, 대만·중국·일본 순으로 방문…한국만 아시아 4개국중 빠져
국내 AI 경쟁력 2군 수준인 'AI 안정적 경쟁국가'로 분류…AI선도국가에서 빠져
(왼쪽부터)젠슨황 엔비디아 CEO가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에게 21일 일본 도쿄 총리 관저에서 선물을 증정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이미지 확대보기
(왼쪽부터)젠슨황 엔비디아 CEO가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에게 21일 일본 도쿄 총리 관저에서 선물을 증정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가 대만·중국·일본 등을 잇달아 방문하며 인공지능(AI) 사업에 집중하고 있는 아시아 국가 중 한국만 소외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이에 일각에서는 국내 산업 환경 개선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22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젠슨 황 CEO는 21일 일본을 방문해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를 만나 일본에 AI 수요를 감당할 전력 인프라 구축을 요청했다. 그는 "일본은 로봇공학과 산업 제조 분야에서 선도적 입지에 있기에 AI 개발에 매우 유리한 위치에 있다"고 말했다.

일본의 로봇공학 기술을 인정하면서 전력인프라가 구축된다면 투자에 나설 수도 있음을 암시한 셈이다.
앞서 젠슨 황 CEO는 17일 중국 베이징을 찾아 중국 AI 스타트업 딥시크 창립자인 량원펑 CEO를 만난 데 이어 중국 경제 사령탑인 허리펑 국무원 부총리를 만나기도 했다. 중국은 엔비디아 전체 매출의 44%를 차지하는 미국에 이어 17%의 매출을 차지하는 제2의 수출국이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강화 움직임에 주요 고객사를 점검하고 대응책 마련을 위한 행보로 풀이된다.

젠슨 황 CEO가 중국과 일본에 앞서 가장 먼저 챙긴 곳은 대만이다. 대만에는 엔비디아의 제품을 생산 중인 TSMC의 본사와 생산라인이 자리하고 있다. 그는 대만 방문에서 TSMC를 비롯해 협력 업체 수장 35명과 식사하는 등 생산라인을 점검했다.

젠슨 황 CEO의 행적을 종합해 보면 △생산라인 점검(대만) △주요 고객사 전략 마련(중국) △미래 투자처 물색(일본) 등 엔비디아의 우선순위대로 국가를 방문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AI로봇 경쟁에서 소외되고 있는 국내 현실을 적나라하게 보여준다.

지난해 젠슨황 엔비디아 CEO가 미국에서 열린 반도체 컨퍼런스 2024GTC에서 전시된 삼성전자 HBM3E 12H 제품에 서명한 모습. 사진=한진만 삼성전자 부사장 SNS 캡처이미지 확대보기
지난해 젠슨황 엔비디아 CEO가 미국에서 열린 반도체 컨퍼런스 2024GTC에서 전시된 삼성전자 HBM3E 12H 제품에 서명한 모습. 사진=한진만 삼성전자 부사장 SNS 캡처


국내는 엔비디아의 AI 시스템 구축에 필수적인 고대역폭메모리(HBM) 주요 공급처다. SK하이닉스가 이미 HBM을 납품하고 있고, 삼성전자는 HBM 공급을 위해 지난해부터 퀄테스트(품질검증)를 진행 중으로 올해 안에 제품을 공급한다는 전략이다.

기업들도 앞다퉈 AI 개발을 추진중이다. 삼성전자는 자체 개발 거대언어모델(LLM)인 '가우스'를 지속적으로 연구하고 있고 LG는 LG AI 연구원이 자체개발한 엑사원을 지속 개발·발전시켜 적용처를 확대하고 있다.

다만 국내 AI경쟁력은 그리 높지 않은 수준이다. 보스턴컨설팅그룹(BCG)이 73개국을 대상으로 평가한 'AI 성숙도 매트릭스'에서 한국은 2군 수준인 'AI 안정적 경쟁국가'로 분류돼 선도 국가에 들지 못했다. 비상계엄 사태와 탄핵 등으로 반도체특별법 등 정치권의 제도적인 지원을 하지 못하면서 기업들만 고군분투하는 모습이다.

정부 지원을 기대하기 어려워지자, 경제단체들이 나서고 있다. 이날 최태원 대한상공회의소 회장(SK그룹 회장)은 젠슨 황 CEO를 비롯해 립부탄 인텔 CEO 등에게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부대행사인 'CEO 서밋' 초청장을 공식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최 회장은 '국회 미래산업포럼' 발족식'에서 "기업이 원하는 규제를 해당 지역에서 풀고 AI 인프라를 구축하는 등 파격적 인센티브를 부여하자"고 말해 정부 지원의 필요성을 역설했다.


장용석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jangys@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