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일 서울대학교에서 전기‧정보공학부 재학생 200명 대상 CEO 특강 진행

조 CEO는 24일 오후 서울 관악구 서울대학교에서 열린 전기·정보공학부 대상 특별 강연에 앞서 취재진을 만난 자리에서 "운영 효율화 등을 통해 (관세를) 수용할 수 있는 만큼은 최대한 수용할 것"이라며 "미국 공장 증설은 사실상 가장 마지막 단계"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현재 미국 정부는 국가별 상호관세를 유예하고 전 세계 국가에 10%의 기본관세(보편관세)만 부과한 상태다. LG전자는 멕시코에서 생활가전(냉장고·조리기기)을 생산해 미국시장에 공급하고 있다. 관세가 강화될 경우 멕시코 생산 물량을 미국 테네시 공장으로 이전하는 방안까지 고려하고 있음을 밝힌 것이다.
전날 LG전자는 1분기 실적발표 컨퍼런스콜에서 "관세 대응 전체 금액에 대한 제조 원가 개선, 판가 인상 등 전체 로드맵은 이미 준비돼 있다"며 "판가 인상에 대한 고객사 협의는 이미 완료됐다"고 밝히기도 했다.
미국 공장 증설 가능성에 대해 조 CEO는 "미국 생산 기지 건립은 마지막 수단이라고 생각한다"며 "우선 생산지 변경이나 가격 인상 등 순차적인 시나리오에 따라 해야 할 것 같다"고 했다.
한편 조 CEO는 이번 강연에서 '기술로 완성하는 경험의 혁신'을 주제로 LG전자의 공감지능(AI) 기반의 첨단 기술과 미래 지향점 등을 소개했다.
장용석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jangys@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