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2보] 삼성SDI, 캐즘 영향에 2분기 연속 적자

글로벌이코노믹

[2보] 삼성SDI, 캐즘 영향에 2분기 연속 적자

매출 3조1768억원, 영업손실 4341억원 실현
경기도 용인에 위치한 삼성SDI 기흥사업장의 모습. 사진=삼성SDI이미지 확대보기
경기도 용인에 위치한 삼성SDI 기흥사업장의 모습. 사진=삼성SDI
삼성SDI가 올해 1분기 업황 악화로 부진한 경영 실적을 냈다.

삼성SDI는 1분기 연결 기준 매출 3조1768억원, 영업손실 4341억원을 실현했다고 25일 밝혔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34% 줄었고 영업이익은 흑자에서 적자로 돌아섰다. 순손실은 2160억원으로 집계됐다.

1분기 영업이익에는 미국 인플레이션감축법(IRA)에 따른 첨단제조생산세액공제(AMPC) 금액 1094억원이 포함됐다.

배터리 부문은 매출 2조9809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4.9%, 전 분기 대비 16.4% 감소했다. 영업손실은 4524억원을 기록했다.
전기차·전동공구용 배터리 등 주요 고객의 재고 조정과 에너지저장장치(ESS) 시장의 계절적 비수기 진입 영향으로 매출이 감소했고 이에 따른 가동률 하락과 고정비 증가 등으로 수익성이 악화됐다.

전자재료 부문 매출은 1959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6.4% 감소했으나 전 분기 대비 3.1% 증가했다. 영업이익은 183억원으로 집계됐다.

유기발광 다이오드(OLED)소재를 중심으로 수요가 늘어나며 전 분기 대비 매출이 소폭 증가하고 수익성이 개선됐다.

회사는 2분기 실적 개선을 전망했다.

전기차 부문은 주요 완성차 업체들의 재고 조정이 마무리되고 이산화탄소(CO2) 규제와 전기차 지원 정책이 시행되는 유럽을 중심으로 수요가 회복하고 있으나 미국 관세 정책에 따른 수요 불확실성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ESS 부문은 글로벌 신재생에너지 및 AI 데이터센터 확대에 따라 전력용과 UPS(무정전 전원장치)용 시장 중심의 성장이 지속되고, 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 확정으로 국내 프로젝트 기회가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소형 배터리 부문은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 증가에 따라 수요가 크게 늘어날 것으로 보이는 BBU(Battery Back-Up Unit)용 판매를 확대하고 모바일 기기 관련 매출과 수익성도 확보한다는 전략이다.

전자재료 부문은 반도체와 OLED 소재의 수요가 견조하게 이어질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반도체 패터닝 소재와 폴더블 OLED용 소재 등 고부가 제품 중심의 판매를 확대한다.

회사 관계자는 "2분기 역시 경영환경의 불확실성이 높은 상황이나 실적은 1분기를 저점으로 개선될 것으로 보인다"며 "실적 개선을 추진하는 동시에 미래 경쟁력 확보를 위한 준비도 차질없이 추진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김정희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jh1320@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