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10여년이 지난 현재 일본은 우리 민족을 능욕했던 지난날 역사를 반복하고자 또 다시 도발을 감행했다. 우리 대법원의 일본군 ‘위안부’ 할머니들에 대한 배상금 지급 판결이 부당하다며 세계 자유무역사(史)에 유례가 없는 수출규제 조치를 단행했다. 우리나라 핵심 산업인 반도체·디스플레이 산업을 무너뜨려 한국을 일본 발 밑에 두겠다는 심산이었다.
그러나 지금의 대한민국은 100년 전 일본이 제 멋대로 가지고 놀았던 나약한 존재가 아니다. 세계 11대 경제대국인 우리나라는 국민 분열을 기대했던 일본 정부를 비웃기라도 하듯 더욱 똘똘 뭉쳐 일본 만행에 단호히 대처했다.
그리고 그 중심엔 삼성전자, SK, 효성 등 대기업이 있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등 반도체 기업들은 일본의 보복조치 이후 즉각 대체선 마련에 성공해 일본 수출규제 조치 효과를 무력화시켰다. 특히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일본 경제도발이 한창일 때 세계 최고 기술이 집약된 반도체 신제품을 잇따라 선보여 ‘반도체코리아’의 저력을 보여줬다. 효성 역시 대규모 첨단소재 투자 계획을 선포하며 ‘극일(克日)’ 의지를 다졌다. 이러한 우리 대기업의 지원사격을 등에 업은 현 정부는 그 어느 때보다 당당한 모습이다.
경술국치 109주년이기도 한 오는 29일에는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에 대한 대법원 판결이 예고돼 있다. 앞서 이 부회장은 지난 정권 시절 자신의 경영권 승계를 위해 박근혜 전 대통령에게 뇌물을 줬다는 의혹을 받고 1심에서 징역형을 선고받고 구치소에 수감됐다 2심에서 집행유예로 풀려났다. 만약 29일 대법원이 2심 선고를 깨고 ‘징역형’ 취지로 사건을 돌려보낸다면 이 부회장은 다시 수감될 수밖에 없다.
법원이야 오직 법리로만 엄정히 판단해 선고하겠지만 지금은 한 개인에 대한 엄정한 단죄보다는 국익을 생각하는 ‘정치력’이 우선돼야 하지 않을까. 국민 자부심을 드높인 대기업이 힘을 얻고 더욱 보국할 수 있도록 사법부의 현명한 판단을 기대해본다.
오만학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mh38@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