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해양부의 ‘2012년 6월 주택 매매거래 동향 및 실거래가 자료’를 분석한 결과, 6월말 현재 서울 지역의 아파트 가격은 평균 4억2468만 원으로 2008년 금융위기 직후보다 6334만 원 떨어졌다는 것이다. 비율로는 13%나 되었다. 강남 지역은 5000만 원 떨어졌는데 비해 강북 지역은 7800만 원이나 하락, 더 많이 추락했다고 했었다.
아파트 가격이 4년 동안 ‘우수리’를 떼고 6000만 원이 떨어졌다면, 단순계산으로 1년에 1500만 원이 하락한 셈이었다. 한 달에 125만 원이었다.
‘평균’이 그랬을 뿐이었다. 아파트값이 ‘억대’로 떨어진 국민은 당연히 더 많이 까먹고 있었을 것이다.
우리나라 국민은 가계 자산에서 차지하는 부동산의 비율이 높다고 했다. 가진 것이라고는 달랑 아파트 한 채뿐인 국민은 속이 편할 리가 없을 것이었다.
은행돈을 얻어서 억지로 ‘내 집’을 마련한 국민은 올라도 시원치 않을 아파트값이 주저앉는 바람에 속이 닳아서 없어지는 느낌일 것이었다. 손해를 보더라도 아파트를 처분해서 은행돈이라도 갚으려고 해도 그마저 쉽지 않아졌기 때문이다. 아파트 거래가 같은 기간 동안 절반 가까이 줄어서 팔기도 힘들어졌던 것이다.
이랬는데, 노영민 대통령 비서실장은 지난 25일 국회에서 “아파트값이 우리 정권에서 올랐냐”며 “제 아파트는 MB(이명박) 때도 올랐다”고 주장하고 있었다. 노 실장은 그 아파트에서 ‘15년’을 살았다고 했다. 서울지역 아파트 가격이 죄다 떨어졌던 당시에도 자신이 살던 아파트는 올랐다는 것이다.
경실련은 지난 7월 기자회견에서 “서울 소재 34개 대규모 아파트 단지 8만여 가구의 아파트값 시세 변화를 분석한 결과, 문재인 정부 3년(2017년 5월∼2020년 5월) 동안 25평 아파트값의 상승폭이 4억5000만 원으로 김영삼 정부 이후 역대 정권과 비교해 가장 많이 올랐다”고 발표했다.
문재인 정부에서 서울 아파트값은 임기 초 8억4000만 원에서 올해 5월 12억9000만 원으로 4억5000만 원, 53%가 오른 것으로 조사되었다고 했다. 이명박 정부(2008∼2013년) 때만 유일하게 임기 초 7억6000만 원에서 임기 말 6억6000만 원으로 1억 원 하락했다고 발표하고 있었다.
그런데 노 실장의 아파트값은 그 와중에도 오르고 있었다. 그 ‘집값 노하우’가 궁금해지는 것이다.
이정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bellykim@daum.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