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데스크칼럼] 언(Un)택트 시대, 온(溫)택트가 먼저다

글로벌이코노믹

오피니언

공유
0

[데스크칼럼] 언(Un)택트 시대, 온(溫)택트가 먼저다

최영운 유통경제부 부장·부국장이미지 확대보기
최영운 유통경제부 부장·부국장

지속되는 코로나19의 칙칙한 뉴스와 독감백신 접종 후 알 수 없는 연이은 사망 사고, 근무 과중에 따른 어느 집안 아빠인 젊은 택배 노동자들의 잇따른 죽음으로 2020년 시월의 풍경이 을씨년스럽다.

예년 요맘때면 어김없이 찾아왔을 울긋불긋 단풍 인파의 재잘거림과 한 해 농사 수확을 자랑할 호탕한 농군의 웃음소리, 프로야구 최고 챔피언을 향한 시끌벅적 응원도 사라졌다. 인근 야산과 주변 가로수의 화려한 옷맵시를 감상할 여유가 없는 시월의 끝자락이다.

올 사회현상 중 대표적 변화가 코로나19가 몰고 온 비대면, 즉 언택트(Untact) 마케팅이다.

코로나 사태로 소비자들은 대면 접촉을 기피하는 문화가 확산됐고, 온라인 쇼핑으로 마음을 돌린 결과 택배와 배달업종은 급속 성장했다.

한국 통합물류협회에 따르면 2000년 연 2억5000만 상자를 처리했던 택배사들은 2010년 12억 상자, 2019년 27억9000만 상자의 물량을 처리했다. 지난 20년간 처리 물량은 11배나 급증했고, 국민 1인당 택배 이용량도 2005년 11.1개, 2015년 35.7개, 2019년 53.8개를 기록했다. 경제활동인구로 한정한다면 1인이 매년 받는 택배 상자는 99.3개에 이른다.

국토교통부의 생활물류 택배물동량을 봐도 1~8월 중 택배물동량은 21억 6034만여 개로 전년 같은 기간보다 20.0% 증가했다. 이에 따라 올 상반기 온라인 유통업체들의 매출은 전년보다 17.5% 급증했고, 물량 증가는 자연스럽게 택배사 매출 확대로 이어졌다.

국내 1위 택배사인 CJ대한통운의 2020년 상반기 택배부문 매출은 2019년 대비 27.3%나 오른 1조5706억 원을, 영업이익은 830억 원으로 2019년 상반기 232억 원에 비하면 258% 증가율을 보였다. ㈜한진의 택배부문 매출액도 23.3% 늘어난 4765억 원, 영업이익도 전년보다 92.2% 늘어난 223억 원을 기록했다.

택배회사들의 급속 성장과는 달리 업무 과중으로 사망한 택배 노동자는 올 들어 14명에 달한다. 한국교통연구원 자료를 보면 국내 택배 기사들은 하루 평균 12.7시간, 월 평균 25.6일을 일한다. 그 대가로 한 달에 302만 원을 손에 쥘 뿐이다.

최근 연이은 택배 노동자의 사망으로 비난의 타깃이 된 CJ대한통운은 대표가 직접 나서 택배물 분류 지원인력을 투입하고, 내년 상반기까지 산재보험을 모두 가입하겠다는 등의 대책을 발표했다. 택배사와 유사한 업체인 배달의민족도 건당 200~300원씩 떼던 배차 중개수수료를 없애 라이더들의 소득을 높이고, 피복비·건강검진비·휴식지원비를 제공하며, 악천후엔 배송서비스를 중지키로 약속했다.

사후약방문식이지만 택배 노동자들의 열악한 근무조건 개선에 의지를 보인 것으로 앞으로 여타 택배업종에도 근무개선의 신호탄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전자상거래 시장의 급성장으로 앞으로도 택배업 경쟁은 더욱 치열해질 것이다. 우리가 좋아하는 ‘새벽 배송’ ‘총알 배송’ ‘당일 배송’ ‘로켓 배송’ 등의 화려한 수식어 뒤에는 속도경쟁으로 내몰리는 택배 종사자들의 숨찬 경쟁이 숨어 있다.

정부는 8월 14일을 ‘택배없는 날’로 지정해 택배 노동자들의 1일 휴가권을 보장했다. 하지만 적정 근무시간과 함께 배송기사 업무 범위, 허술한 근로계약 구조가 개선되지 않으면 ‘택배없는 날’ 지정은 정부의 생색내기 이벤트에 그칠 뿐이다.

명백한 갑을관계에 있는 택배기사 등 특수형태 종사자들의 산재보험 가입 의무화와 2011년 대법원의 택배 분류작업 판결은 지금의 택배업 성장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 것으로 법적, 제도적 개선이 시급하다.

우리 삶을 위한 ‘모든 기술’의 지향점은 결국 ‘사람’이기 때문이다.


최영운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young@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