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데스크칼럼] 우리에겐 진정한 5G가 필요하다

글로벌이코노믹

오피니언

공유
3

[데스크칼럼] 우리에겐 진정한 5G가 필요하다

노진우 IT과학부장이미지 확대보기
노진우 IT과학부장
초고속·초저지연·초연결을 내세우며 시작한 5G 상용화가 2년을 앞두고 1000만 가입자시대를 열었으나 현재에도 5세대 이동통신(5G) 서비스는 여전히 이용자들에게 불만의 대상이다.

비싼 요금제를 선택한 만큼 빠른 속도와 끊김이 없는 고화질의 영상 보기등 다양한 서비스를 이용자들은 바라고 있다.
하지만 2019년 4월 5G 상용화 이후 약 2년이 흘렀는데도 통신사가 LTE와 큰 차이가 없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어 진정한 5G 서비스는 기대할수 없는 상황이다.

현재 국내에서 서비스 되는 이동통신 3사의 5G는 3.5GHz 주파수 대역에서 NSA(비단독모드) 방식으로 서비스 하고 있다.
5G NSA는 데이터는 5G망을, 데이터 처리를 위한 신호는 LTE망을 이용하는 만큼 5G망과 LTE망 연동이 필수다.

반면 SA(단독모드) 방식은 주파수 신호와 데이터 전송을 모두 5G망으로 처리하기 때문에 NSA 방식에 비해 지연시간 감소, 배터리 소모량 절감 등을 기대할 수 있다.

이러한 특성으로 SA 네트워크는자율주행, 스마트팩토리, 차세대 영상 서비스 구현을 선도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5G 서비스를 시작할 당시만 해도 통신사들은 '20배 빠른 서비스'를 내세우며 상대적으로 고가의 요금제를 내놨으나 현실은 수시로 LTE로 전환되거나 서비스가 지속적으로 끊기는 불편·불만이 잇따르고 있다.

이런 문제는 5G 커버리지(서비스 가능 구역)가 부족한 것이 원인이라고 판단한 소비자들은 이동통신사를 상대로 집단소송을 준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아울러 통신사들의 5G 망 투자를 유예해 준 정부에도 책임을 물을 것이라고 밝혔다.

김홍식 하나금융투자 기업분석실장은 "올해 상반기 5G 트래픽이 LTE를 추월할 것으로 예상되고, 5G 커버리지·통화품질 문제, 나아가 이로 인한 LTE 속도 저하 문제까지 지적되고 있는 만큼 통신사들의 5G 투자 압박은 커질 것"이라고 예상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최근 발표한 '5G 기지국 현황(2020년 8월 말 기준)'에 따르면, 전국 5G 기지국 구축률은 4세대 이동통신(LTE)과 비교해 평균 13.5%에 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동통신 3사의 연간 실적에서도 커버리지 확대가 필요한 지난해 통신사들은 5G 망 등 무선망 투자를 전년 대비 20~30%씩 줄였다.

이통사들은 커버리지를 확대하기위해 많은 투자가 필요해 쉽게 확대가 어렵고 요금 할인에 대한 압박도 있어 쉽사리 결정해 추진하지 못한 다는 것이 입장이다.

하지만 이용자들은 5G 상용화 당시 이동통신사들이 하나 같이 밝혔는 LTE보다 20배 빠른 속도로 대용량의 데이터를 순식간에 받는 것에 관심을 가졌고, 가격이 조금더 비싸지더라고 질 좋은 서비스라면 감수한다는 것이었다.

하지만 이통사는 5G 투자를 B2C보다 28㎓ 주파수의 B2B에 더 열을 올리고 있는 듯하다. 자율주행이나 AR,VR등 이용자들의 서비스보다 훨씬 이익이 많기 때문이다.

수도권을 벗어나면 5G 서비스를 이용하기는 더욱 힘들다. 이런 5G 서비스에 대한 불만이 여전한 가운데 5G에 가입했다가 LTE로 돌아간 가입자까지 수십만명에 이르는 실정이다.

소비자는 다운로드 속도 향상, 소셜 미디어의 버퍼링 감소, 4K 모바일 게임 플레이뿐 아니라 훨씬 더 개선된 가상 현실 경험을 요구하고 있다.

최신의 기술과 최상의 서비스를 요구하는 이용자들이 LTE로 회귀할 만큼의 불만이 팽배한 현재 5G서비스에 대해 이동통신사와 정부의 대안 마련이 시급하다.


노진우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jinrocals@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