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세대 메신저 리보핵산(mRNA) 백신 플랫폼 기술 컨소시엄(K-mRNA 컨소시엄)'이 최근 닻을 올렸다. 한미약품, 동아제약 계열사 에스티팜·GC녹십자 등 3개 기업이 '원팀'이 되고 한국혁신의약품컨소시엄(KIMCo)이 지원한다.
이번 컨소시엄이 출범하기 전까지 국내 제약사에게 기술은 공유의 대상이 아닌 지켜야 할 대상이었다. 다소 시간이 걸리더라도 혼자만의 싸움을 이어가는 풍토가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백신주권을 확보하자는 공동의 목표가 이들을 '팀 플레이어'로 이끌었다.
지금부터가 시작이다. 단순히 뭉치는 데 그치는 게 아니라 목표 기한 내에 유의미한 결과물을 만들어 내야 한다. 단기로는 코로나19 백신 개발에 초점을 두겠지만 일단 물꼬를 트면 2차 목표대로 항암 백신, 글로벌 백신 등의 개발을 얼마든지 기대할 수 있다.
정부 역할도 중요하다. 백신 개발에는 천문학적 시간과 비용이 소요된다. "백신 개발과 생산을 가속화할 수 있도록 모든 역량을 동원해 적극 지원하겠다"는 권덕철 보건복지부 장관의 말이 말뿐이어서는 안 된다.
코로나 종식은 오지 않을지도 모른다. 전문가 사이에서는 코로나 팬데믹을 넘어 엔데믹(종식되지 않고 주기적으로 발생하거나 풍토병으로 굳어진 감염병) 시대를 준비해야 한다는 전망이 나온다. 인도발 델타형 코로나19 변이 바이러스(델타 변이)의 확산세도 매섭다.
K-mRNA 컨소시엄의 역량과 정부의 적극 지원이 합쳐져 '코로나19 백신 국산화' 시계를 앞당겨야 할 때다. 세계 백신 전쟁에서의 승리를 타 제약강국의 몫으로만 남겨둘 수는 없다.
이하린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may@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