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는 모호한 기준이다. 코로나19 금융지원 조치 종료 등 금융시장의 불확실성은 커지고 충당금도 더 쌓아야 한다는 데 모두가 공감한다. 당국의 시그널도 ‘잠재부실을 대비해 충당금을 충분히 확보하라’란 의미다. 얼마만큼, 어떤 기준에 맞춰 충당금을 쌓으라는 것인지에 대한 기준은 없다. 금융상품 국제회계기준(IFRS9)상으로도 금융사는 이미 넘치도록 충당금을 쌓았다. 각종 건정성 지표도 개선됐다. 금융사가 주주 이익을 추구해야할 주식회사란 점을 감안시 건전성이 충분하다면 충당금 적립을 멈추고 배당금을 늘리는 것은 당연하다. 이런 상황에서 당국의 충당금 적립 권고는 자칫 ‘관치(官治)’ 논란을 일으킬 수 있다.
무엇보다 우선시 될 것은 명확한 기준 선정이다. 현재 국내은행의 경우 ‘은행업감독규정’의 자산 건전성 기준에 따라 최소 적립해야 할 대손충당금 적립 기준이 명확하다. 해당 기준상 현재 국내 은행의 건전성은 오히려 개선됐다. 코로나19 지속으로 인한 부실 가능성은 여전히 반영되지 않았다.
명확한 기준 없이 ‘눈치껏’ 적립하라는 말에 당위성은 없다. 당국은 막연한 추가 적립이 아닌 명확한 가이드라인을 금융사에 제시해 줘야 한다. 또한 금융사들과 긴밀한 사전협의로 ‘관치’라는 꼬리표도 떼어야만 할 것이다.
신민호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sho634@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