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김박사 진단] 베블런 효과 (Veblen Effect) 와 에루샤 명품 사랑

글로벌이코노믹

오피니언

공유
1

[김박사 진단] 베블런 효과 (Veblen Effect) 와 에루샤 명품 사랑

베블런 효과,  김대호 박사 분석과 진단  이미지 확대보기
베블런 효과, 김대호 박사 분석과 진단
비쌀수록 더 잘 팔리는 상품이 있다. 이른바 명품 이야기다. 명품들은 가격을 올리면 더 많이 팔린다. 명품중에서도 가장 알아주는 명품을 흔히 에루사라고 부른다. 에르메스와 루이비통 그리고 샤넬이라는 세 브랜드를 하나로 뭉쳐 에루사로 부른다.

최근들어 에루사의 판매 신장율이 가장 높은 곳은 단연 한국이다. 에르메스코리아·루이비통코리아 그리고 샤넬코리아의 감사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2021년 한해동안 이 명품 3사의 합산 매출은 무려 3조2194억원이다. 매장문이 열리자마자 달려가는 이른바 오픈런의 문화를 창조한 샤넬코리아는 매출 1조2238억원을 기록했다. 전년대비 31.6% 늘어났다. 영업이익은 2490억원으로 무려 67% 증가했다. 샤넬은 2021년 중 무려 세차례나 가격인상을 단행했다. 그때마다 '오픈런 붐'을 일으키며 품귀현상까지 빚었다. 가히 광풍이었다. 루이비통코리아는 지난해 1조4681억원의 매출을 올렸다. 국내 진출 명품 브랜드 가운데 단연 1등이다. 매출 증가율은 40.2%이다. 영업이익은 두배 가량 늘어난 3019억원이다. 에르메스코리아의 매출은 5275억원을 기록했다. 전년 대비 25.9% 늘어났다. 영업이익은 1705억원으로 27.8% 늘었다. 수천만원을 넘는 에르메스 버킨백·켈리백은 에르메스의 주얼리나 의류 등 비인기 제품을 잔뜩 사 실적을 쌓아야만 구매할 수 있다.
한국 소비자들의 명품 사랑은 유별나다. 유로모니터는 우리나라의 명품 시장 규모를 141억6500만 달러로 추산하고 있다. 우리 돈으로 17조원을 넘나드는 규모이다. 한국의 명품시장 규모 증가 속도는 단연 세계 제일이다. 유난히 명물을 좋하하는 한국인등의 일류 사랑은 대체 어디서 오는 것일까?

미국의 경제학자이자 사회평론가인 베블런(Thorstein Bunde Veblen)은 1899년 출간한 그의 저서 '유한계급론(有閑階級論)' 에서 "명품 소비는 돈으로 사회적 지위를 과시하기 위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베블렌의 유한계급론 이후 사회학에서는 명품 소비가 늘어니는 현상을 베블렌 효과라고 부른다. 베블런효과는 한마디로 가격이 오르는 데도 수요가 줄어들지 않고, 오히려 증가하는 현상을 말한다. 가격이 오를때 소비가 더 늘어나는 속성도 베블런 효과에 속한다. 베블런의 유한계급론에 따르면 값비싼 귀금속류나 고가의 가전제품, 고급 자동차 등이 주로 베블런 효과의 대상이 된다. 꼭 필요한 것도 아닌데 오로지 부를 과시하거나 허영심을 채우기 위해 구입하는 것이 베블런 소비이다. 과시욕이나 허영심을 채우기 위해 고가의 물품을 구입하는 사람들은 값이 오르면 오를수록 수요를 더 늘린다. 값이 떨어지면 누구나 손쉽게 구입할 수 있다는 이유로 구매를 하지 않는 경향이 있다.
베블런이 저술한 유한계급론의 영어제목은 'The Theory of the Leisure Class, The Theory of the Leisure Class: An Economic Study of Institutions' 베블런은 이 책에서 약탈과 기만으로 재산을 축적해서 사치와 방탕한 생활을 일삼던 미국의 부자들을 예리하게 파헤쳤다. 이러한 부자들이 많아지면 그 사회는 더 이상 존속하기 어렵다는 것이 베블런의 결론이다. 베블런은 이 책에서 신고전파 경제학의 자유주의를 특히 신랄하게 비판하고 있다. 신고전파 경제학의 자유주의가 자칫 방종으로 흐를 때 명품 족들이 늘어난다는 것이다. 명품의 폭발적 증가가 두려운 이유이다.


김대호 글로벌이코노믹 연구소장 / 경제학 박사 tiger8280@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