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일 뉴욕증시에 따르면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614.46포인트(1.85%) 오른 33,916.39에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103.54포인트(2.47%) 뛴 4,287.50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382.60포인트(3.06%) 급등한 12,871.53에 마감했다. 미국이 GDP에서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했다는 예상 밖의 결과에도 올랐다.
미국 뉴욕증시가 이처럼 오른 것은 마이너스 GDP성장률이 기술적 요인에 따른 일시적 현상이라는 분석이 나오는 데가 오히려 미국 연준의 금리인상 속도를 늦출수 있다는 기대가 나온 때문으 보인다. 여기에다 빅테크 기업들의 실적 호조도 급등장을 연출한 요인이다. .페이스북 모회사 메타 플랫폼을 비롯한 주요 기업들의 실적이 호조르 보이면서 뉴욕증시가 올랐다. 메타는 전날 장 마감 후 1분기 페이스북 이용자가 다시 늘었다고 발표한 데 힘입어 이날 하루에만 17.6% 급등했다. 이를 계기로 기술주에 대한 자신감을 회복한 투자자들이 저가 매수에 나서면서 애플(4.5%)과 아마존(4.7%), 구글 모회사 알파벳(3.6%)도 나란히 급반등했고, 엔비디아(7.4%)와 퀄컴(9.7%) 등 최근 추락하던 반도체주의 반등폭은 훨씬 더 컸다.
국내총생산(GDP) 증가율이 연율 -1.4%로 예상 밖의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했으나 뉴욕증시는 오히려 올랐다. GDP는 후행 지표인 데다 지난 분기 개인소비지출과 기업투자가 오히려 늘어나는 등 세부 지표에서 미국 경제의 강한 체력을 확인한 결과라는 분석이 나온다.1분기 미국의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마이너스를 기록했음에도 28일(현지시간) 미국 증시는 일제히 랠리했다. 다우가 1.85%, S&P500이 2.48%, 나스닥이 3.06% 각각 급등했다.
미국 상무부는 증시 개장전 미국의 1분기 국내총생산(GDP) 속보치가 연율 -1.4%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미국 경제가 마이너스 성장률을 기록한 것은 코로나19 사태 초기인 2020년 1∼2분기 이후 처음으로, 이날 상무부가 발표한 속보치는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집계한 1분기 성장률 전망치 1.0%를 크게 하회한 수준이다. 뉴욕증시에서는 같은 악재를 우크라이나 전쟁, 중국의 코로나 사태 등 일시적 현상이라고 받아들였다. 뉴욕증시에서는 미국 경제 자체의 체력은 강하다는 사실이 세부 지표에서 확인됐다고 미 언론들은 진단했다. 예상 밖의 역성장은 무역적자 심화, 기업들의 재고 투자 둔화, 연방정부의 재정지출 감소 때문으로 분석된다. 1분기 미국의 무역적자는 역대 최대 기록을 갈아치우며 전체 GDP를 3.2%포인트 끌어내렸다. 미국인들의 왕성한 소비 활동으로 수입이 급증한 반면 다른 나라들의 경기회복 지연으로 수출 증가세가 둔화한 결과여서 부정적으로 해석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공급·물류망 차질이 한창이던 작년 말 쇼핑 대목을 맞아 불필요하게 재고를 크게 늘린 미국의 기업들이 올해 들어 재고 투자를 줄인 것도 전체 GDP에서 0.8% 이상 마이너스 효과를 가져왔다. 여기에 정부 지출이 감소한 것도 미국 경제성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지난 분기 미국의 국방 지출은 8.5%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