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일 뉴욕증시에 따르면 뉴욕증시 시장 금리의 벤치마크인 10년물 미국 국채 금리가 11년 만에 처음으로 3.5%를 돌파했다. 10년물 미 국채 금리는 한때 6bp(1bp=0.01%포인트) 이상 오른 3.518%까지 치솟았다. 심리적 저항선으로 여겨졌던 3.5% 선을 넘었다. 지난 2011년 4월 이후 처음이다. 장중 최고점을 찍은 뒤 10년물 미 국채 금리는 상승폭을 줄여 3.49%대를 넘나들고 있다. 2년물 미국 국채 금리도 오전 한때 9bp 이상 오른 3.96%까지 찍었다. 미국 국채 금리가 급등한 것은 오는 20∼21일 열리는 9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에서 또 한 번의 대폭 기준금리 인상이 확실시되기 때문이다. 뉴욕증시에서는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 상승률이 시장 예상을 상회한 8.3%로 발표된후 연준이 최소 0.75%포인트의 금리인상을 단행할 것이 유력시된다. 뉴욕증시 일각에서는 인플레이션의 고착화를 막기 위해 연준이 기준금리를 한꺼번에 1%포인트 올릴 수 있다고 예상한다. 연준이 다음 FOMC 정례회의가 열리는 11월까지 4연속 '자이언트 스텝'(한 번에 0.75%포인트 금리인상)을 밟을 수 있다는 관측까지 나오고 있다. FOMC에서 나올 연준 점도표상 최종 금리가 4.25∼4.5%라고 가정할때 2년물 미 국채 금리가 4% 이상으로 간다는 것은 쉽게 상상할 수 있다. 뉴욕증시 블룸버그통신은 내년 봄 미국의 기준금리가 최고 4.48%에 이를 것으로 예상한다.
급격하게 오르는 금리가 결국은 경기침체를 촉발할 것이라는 두려움도 커지고 있다. 경기침체의 전조로 여겨지는 장단기 국채 금리 역전 현상도 더욱 심화됐다. .2년물 국채 금리가 10년물보다 더 크게 오르면서 둘간 금리 차이가 46bp로 더욱 벌어졌다. 이 도한 지난 2000년 이후 최대폭이다. 2년물과 30년물 국채 금리의 역전폭도 0.43%포인트로 벌어졌다. 2000년 이후 가장 심화됐다.
미국 뉴욕증시는 연방준비제도(연준·Fed)의 통화정책 회의를 앞두고 올랐다.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197.26포인트(0.64%) 오른 31,019.68로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26.56포인트(0.69%) 상승한 3,899.89로,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전장보다 86.62포인트(0.76%) 뛴 11,535.02로 장을 마감했다. 다우지수는 지난주에만 4% 이상 하락했고, 나스닥지수도 5.5% 떨어졌다. S&P500지수는 한주간 4.8% 밀렸다. 증시 낙폭이 깊어지면서 지수가 과매도 상태에 들어섰다는 분석도 나왔다.
연준은 이번 회의에서 세 번째 0.75%포인트 금리 인상을 단행할 것으로 예상된다. 1%포인트 금리 인상까지 열어둬야 한다고 주장도 있다. 미국 금리선물시장에 반영된 연준의 9월 0.75%포인트 금리 인상 가능성은 80%를 넘어섰다. 이런 가운데 10년물 국채금리가 3.5%를 돌파하면서 국채금리 상승은 주가에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 골드만삭스는 주말 동안 내년 미국의 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1.5%에서 1.1%로 하향했다. 또한 이번 회의에서 연준이 금리를 0.75%포인트 인상해, 올해 말까지 총 1.75%포인트 인상할 것으로 내다봤다. 앞으로 12개월 내 경기침체 가능성은 35%로 올렸다. 미국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연방기금(FF) 금리 선물 시장에서 연준이 9월에 금리를 0.75%포인트 인상할 가능성은 82%에 달했다. 1%포인트 인상 가능성은 18%를 나타냈다. 시카고옵션거래소(CBOE) 변동성 지수(VIX)는 전장보다 0.54포인트(2.05%) 하락한 25.76을 나타냈다.
김대호 글로벌이코노믹 연구소장 tiger8280@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