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섬들은 오랜 기간에 걸쳐 다양한 의미로 바뀌었다. 예전에는 ‘절해고도’라 불리며 유배지로 활용됐다. 국내의 수많은 섬들은 아직도 유배지라는 이미지가 남아있다. 국내 대표 관광지인 제주도조차 과거에는 유배지였다. 한때는 어족 자원을 보유하는 공간과 같은 의미를 가진 적도 있었다. 하지만 현재는 사람들이 일정 기간 머물면서 여행도 하고 편히 쉴 수 있는 공간으로 바뀌고 있다. 섬은 상대적으로 좁은 공간으로 아늑한 분위기를 느낄 수 있고, 주민 생활 및 생산 공간을 살펴보는 것만으로도 관광지이기 때문이다.
국내 섬들은 생태적으로도, 경관적으로도 가치가 우수한 자원이다. 섬은 지리적으로 바다로 둘러싸여 있고 해양경관을 보유하고 있다. 섬은 바다로 둘러싸여 있으면서 산 지형인 경우가 많고 어업과 농업, 임업 등이 동시에 이뤄지고 있기 때문에 섬에서는 다양한 체험도 가능하다. 이처럼 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제주도와 경북 울릉도·독도는 2012년에, 인천 백령도·대청도는 2019년에 각각 자연공원법상 국가지질공원으로 지정됐다. 제주도는 2010년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으로 지정됐다. 전남 신안, 전북 고창, 충남 서천 등 5개 지방자치단체의 갯벌은 2021년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으로 등재되기도 했다.
이제는 섬들이 고유의 자연환경, 특이한 문화와 전통, 특색 있는 식생활과 함께 로컬이라는 의미가 더해지면서 이색적인 체험을 하고 싶어 하는 관광객들의 눈길을 끌고 있다. 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섬 관광객 수도 증가했다. 엔데믹 이후 통영시 사량도, 울릉군 울릉도, 여수시 금오도 등 지역을 대표하는 섬을 방문하는 관광객 수도 늘고 있다.
섬 관련 관광정책이 중앙부처 간에 개별 사업으로 추진·관리되면서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정책을 수립하지 못한 것도 문제점으로 지적된다. 관광기반시설은 물론 관광서비스 관련 시설, 관광프로그램 부족으로 섬 관광객의 관광 편의를 개선하고 관광 경험을 높이기 위한 섬 관광정책이 지속적으로 추진되기 어려운 실정이다.
기존 정책사업도 공모사업 중심으로 추진되면서 섬들이 전체적으로 균형 있고 조화로운 발전을 꾀하기 어렵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섬 관련 사업을 추진하는 문체부·행안부·해양수산부·국토교통부 등 4개 중앙부처가 각 지자체와 함께 종합적·체계적인 정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아울러 국제적으로 알릴 만한 섬들은 체계적인 브랜딩과 홍보 전략을 마련해 높은 품격을 갖춘 섬으로 조성할 필요성도 제기된다. 대부분의 섬은 어업과 농업이 산업의 주를 이루고 있으므로 어업과 농업의 부가가치를 관광을 통해 어떻게 높일 것인지도 살펴봐야 한다. 이처럼 섬의 고유 특성을 부각시켜 방문객을 유치해야 하며 이를 위해 주민들의 생활환경 개선 및 생산기반 확충도 필요하다.
그러면서도 섬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이룰 수 있도록 자원의 가치를 보존하고 가치를 높일 수 있도록 보존과 활용 측면에서 조화를 이루는 개발이 이뤄져야 한다. 섬 관광이 활성화되고 섬 지역이 지역주민과 관광객 모두에게 행복한 공간으로 거듭나기 위해 부단한 노력과 고민이 필요한 시점이다.
조용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yccho@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