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글로벌이코노믹 사설] 소비 주도형 성장의 전제 조건

글로벌이코노믹

오피니언

공유
0

[글로벌이코노믹 사설] 소비 주도형 성장의 전제 조건

미국 가계가 정부에서 지원받은 현금만 2조1000억 달러다. 사진=AP/연합뉴스이미지 확대보기
미국 가계가 정부에서 지원받은 현금만 2조1000억 달러다. 사진=AP/연합뉴스
코로나 팬데믹 이후 미국 가계가 정부에서 지원받은 현금만 2조1000억 달러다.

규모로 따지면 미국 GDP의 9.8%에 해당하는 금액이다. 늘어난 가계 소득은 소비로 이어졌다.
가계의 금융 자산도 늘었다. 가계로서는 소득을 늘리고 부채를 줄이는 기회를 잡은 셈이다.

기업은 늘어나는 소비에 걸맞게 생산을 늘렸다. 이게 견고한 고용지표로 나타났고, 임금과 물가를 자극해 경제를 성장하게 만든 것이다.
가계에 재정을 지원해서 결국 기업과 은행의 대차대조표 개선을 이끈 미국식 부양정책의 핵심이다. 연준이 금리를 급격하게 인상하는 기간에도 재정 지원을 멈추지 않은 이유이기도 하다.

미국은 과거 15년간 두 차례의 저금리 시대를 거쳤다. 이때마다 가계는 채무를 갚으면서 부채율을 줄였다.

이번 고금리 구간에서도 미국 가계는 이미 확보한 저금리 대출을 통해 위기를 넘기고 있다. 미국 가계의 이자 지출은 연방기금이나 국채금리는 물론 기업 대출금리보다도 낮다.

가계 대출의 80%는 금리 5% 이하다. 3% 이하의 싼 금리를 적용받는 가계도 30%에 이른다.

최근 물가가 급속하게 하락하는 가운데서도 임금 하락률은 미미하다. 실질 임금이 오른다는 이야기다. 금융 자산과 부동산 가격 상승으로 가계 자산도 증가했다.

미국 가계 자산의 70%는 금융 자산이다. 자산 가격이 오르니 부채는 줄 수밖에 없다.

최근 3년간 미국 가계는 미국 채권을 사고팔면서 큰 이익을 봤다.

연준의 양적 완화 시 가계는 보유 채권을 팔고, 긴축하면 반대로 사는 식이다. 지난해 3분기 말 기준 미국 가계의 순자산은 2020년 1분기에 비해 36%나 늘었다.

그것도 소득 하위 50% 가계의 자산이 74%나 증가했다. 대신 미국 재정 부채는 34조 달러로 급증했다. 자산이 정부에서 가계를 통해 기업과 은행으로 골고루 분배하는 데 성공한 셈이다.

소비보다는 수출이나 건설 부양만을 중시해온 우리 경제가 배워야 할 시사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