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년 전보다 5.2% 증가한 수치다. 정부의 연초 목표치 5%를 달성한 셈이다.
리창 중국 총리는 최근 다보스포럼에서 경기회복에 강한 자신감을 피력했다. 하지만 중국의 경기침체 상황과 맞지 않는다는 반응도 여전하다.
코로나 팬데믹으로 인한 성장률 기저효과 덕이라는 해석까지 다양하다.
위안화 환율을 대폭 절하시킨 환율개혁을 했던 1994년 이후 29년 만의 첫 마이너스 성장률이다.
유엔 통계를 보면 글로벌 GDP에서 차지하는 중국 경제 비중은 16.9%로 떨어진 상태다. 2년 연속 하락이다. 최고 정점이던 2021년의 18.3%에 비하면 1.4%p 차이다.
중국 경제가 세계 경제의 성장 엔진 역할을 한 게 2001년부터다. 세계무역기구(WTO)에 가입할 당시 중국 경제의 전 세계 GDP 비중은 4%였다.
이게 2021년에는 4.6배로 늘어나며 중국 경제 황금기를 구가했으나 이후 2년 연속 하락 국면을 이어가는 모양새다.
실제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를 보면 9월 한 달을 제외하면 지난 4월 이후 줄곧 50선 아래다. 지난해 12월 주택가격을 봐도 주요 70개 도시에서 일제히 하락했다. 미분양 재고도 늘었다. 부동산 개발 투자도 9.4% 줄어 연속 2년째 마이너스다.
중국 GDP 성장의 핵심인 정부 지출과 수출 투자도 마이너스다. 달러로 환산한 중국 수출은 3조3800억 달러다. 1년 전보다 4.6%나 줄어든 셈이다.
2016년 이후 첫 하락이다. 고정자산 투자도 0.5% 줄었고, 정부 관리기업의 이익도 6조9822억8000만 위안으로 마이너스 4.4%다.
중국 성장률이 1% 줄면 글로벌 경제에 0.21%p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투자를 통한 경기부양보다는 IMF의 권고대로 시스템 개혁을 해야 할 시점으로 보인다.
김종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85kimjc@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