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글로벌이코노믹 사설] 일본 통화정책 전환에 대비할 때다

글로벌이코노믹

[글로벌이코노믹 사설] 일본 통화정책 전환에 대비할 때다

일본 정부의 올해 경제 전망을 보면 물가는 2.5% 정도 상승을 예상한다. 사진=로이터/연합뉴스이미지 확대보기
일본 정부의 올해 경제 전망을 보면 물가는 2.5% 정도 상승을 예상한다. 사진=로이터/연합뉴스
글로벌 인플레이션 영향으로 일본 물가도 지난해 3% 정도 올랐다.

일본 정부의 올해 경제 전망을 보면 물가는 2.5% 정도 상승을 예상한다.

지난 2022년에도 일본 물가는 3.2% 올랐다. 일본 물가 3년 연속 상승세는 1989~1991년 이후 처음 있는 일이다.

올해 전기요금 보조금을 없애서 올라가는 소비자물가지수(CPI) 상승률이 0.6% 정도다. 이게 올해 물가를 2%대로 끌어올리는 일등 공신 역할을 할 전망이다.
일본에서 디플레이션 탈출 여부를 판단하는 지표는 4가지다. CPI는 이미 일본은행 목표치 2%를 초과한 상태다.

일본 내 물가 추세를 종합 진단하는 지표인 GDP 디플레이터도 3분기 기준 5.3%로 상승 중이다. 두 지표만 보면 1995년 이후 최고치다.

우에다 가즈오 일은 총재도 1월 통화정책 회의 직후 임금인상이 물가를 올리는 선순환 구조에 들어섰다고 진단했다. 하지만 통화정책 방향은 그대로 유지하기로 했다.

통화정책 방향을 바꾸려면 물가의 지속적인 상승은 물론 다시 하락으로 돌아갈 수 없어야 한다고 정의하고 있기 때문이다.

3월 초부터 시작하는 기업의 임금인상 시기를 봐가며 디플레이션 탈출을 선언한다는 의미다.

기업이 임금에 실적을 얼마나 반영하느냐가 최대 관건인 셈이다. 고임금에 민간 투자만 살아나는 해가 될 것이란 기시다 후미오 총리의 발언이 나온 것도 이런 이유에서다.

일본은행은 2016년 단기 정책금리를 마이너스 0.1%로 정한 후 마이너스 금리를 유지 중이다. 통화정책은 YCC(채권수익률곡선통제)를 이용하고 있다.

채권수익률을 1% 이내로 묶으면서도 상한선을 탄력적으로 운영하는 게 특징이다.

다음 금융정책 회의는 3월 19일과 4월 26일이다. 디플레이션 탈출 선언은 임금인상을 반영한 4월 회의 이후가 유력하다.

미국이 금리를 내리는 시기와 겹친다. 엔화 강세와 달러 약세 국면에서 한국 경제의 득실을 면밀히 계산하고 대비해야 할 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