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정부의 OTT 요금 개입, 토종 기업만 옥죈다

글로벌이코노믹

정부의 OTT 요금 개입, 토종 기업만 옥죈다

이미지 확대보기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요금이 줄줄이 인상되자 정부가 요금 인하 압박을 가하기 시작했다. 이제는 국민 대다수가 즐기는 엔터테인먼트인 OTT에 '스트림플레이션'(스트리밍+인플레이션을 결합한 신조어) 현상이 일자 서민 물가 인상 억제차 정부가 두 팔을 걷어붙인 모양새다. 그런데 이런 움직임이 흑자를 내고 있는 넷플릭스는 놔두고 적자에 허덕이는 국내 업체들만 겨냥하고 있어 눈살을 찌푸리게 만든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는 19일, 티빙·웨이브·왓챠·넷플릭스·디즈니플러스 등 OTT 사업자 5곳과 회의를 했다. 과기정통부는 "OTT 업계 전반의 의견을 듣는 자리"라고 말했지만 앞서 티빙·웨이브·왓챠 등 토종 OTT 플랫폼을 대상으로 '무료 OTT 이용권' 지급을 요청한 데 이은 자리이기에 OTT 업계들로서는 정부와의 만남이 썩 반갑지만은 않다. 일부는 사실상 구독료를 인하하기를 바라는 무언의 압박처럼 느꼈을 수도 있다.

물론, 취지에는 공감하고 또 OTT 구독료가 낮아지면 소비자로서 반길 만한 일이다. 갈수록 모든 물가가 오르고 있는데다 OTT 또한 요금이 너 나 할 것 없이 가파르게 오르고 있기 때문이다. 디즈니플러스는 지난해 11월 광고 없는 프리미엄 요금제(9900원)를 하위 등급인 스탠더드로 낮추고 월 1만3900원짜리 프리미엄 요금제를 신설했다. 최대 4인이 동시 접속하던 가구라면 40% 인상되는 셈이다. 넷플릭스도 월 9500원 베이식 멤버십 신규 가입을 없애 사실상 상위 요금제인 스탠더드(월 1만3500원) 가입을 강제했다.

여기에 유튜브도 유튜브 프리미엄 요금을 기존 월 1만450원에서 1만4900원으로 올렸고, 국내 OTT인 티빙도 모든 요금을 20%씩 인상해 프리미엄 요금제 기준 월 1만3900원에서 1만7000원으로 올랐다. 하나만 보면 좋겠지만 각자 오리지널 콘텐츠를 늘리고 있고, 또 제공하는 콘텐츠 종류도 제각각이어서 2~3개의 OTT를 구독하는 이들도 많은데 이처럼 한꺼번에 요금이 오르니 아무리 직장인이라 해도 부담이 안 될 수 없다.
그러나 정부가 나서서 OTT 요금 인하를 강권하는 것은 조금 다르게 봐야 한다. 항상 만만한 국내 업체들만 들들 볶으니 국내 업체들의 부담만 가중되고 있다. 사실상 정부의 입김에 영향을 잘 받지 않는 넷플릭스나 유튜브는 구독료를 인하할 생각이 없어 보이기 때문이다. 아니, 자유시장경제 체제에서 정부가 외국 기업의 비즈니스를 두고 '감 놔라 배 놔라' 할 수는 없는 노릇이다. 그것은 공산주의 국가에서나 가능한 일이다.

결국 국가가 나서 OTT 요금 인하를 요구하는 것은 가뜩이나 적자에 허덕이고 있는 국내 기업들에 주 수입원을 일부 포기하라는 협박일 수밖에 없다. 사회적 약자, 취약계층을 지원하는 방법으로는 전기료·냉난방비·교통비 등을 지원하는 것이 오히려 이런 잡음을 줄일 수 있다. 그런데 OTT 업체만을 겨냥한 이 같은 요구사항은 국내 OTT 시장을 죽이고 넷플릭스 천하를 더욱 가속화할 수 있어 심히 우려되는 부분이다.

과거에도 정부는 국내 포털을, 국내 앱 생태계를 숱하게 규제해왔다. 그리고 그 규제의 틈은 외산 기업의 서비스와 플랫폼으로 채워졌다. 사회적 약자를 위한 지원도 좋지만 국내 기업의 목구멍을 옥죄는 방식은 이제 그만둬야 하지 않을까.


이상훈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sanghoon@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