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개국 2500개 업체가 6G 통신과 미래 모바일 시장 판도를 바꿀 AI 기술로 10만여 관객을 끌어들이고 있기 때문이다.
AI 선두 주자인 구글이나 마이크로소프트·메타 등도 마찬가지다. 생성형 AI 기술이 우리 일상을 바꿀 핵심임을 보여주는 단면이다. 하지만 AI 기술엔 양면성이 있다.
올해 선거에 50개국 20억 명이 참여한다. 이미 미국은 AI 기술을 활용한 가짜 음성과 동영상 유포로 시끄럽다. 미국 뉴햄프셔주에서 지난달 유포된 바이든 대통령의 통화 메시지가 AI에서 생성한 가짜 음성으로 드러났기 때문이다.
2016년에도 SNS를 이용한 선거 개입을 경험했던 미국에서 생성형 AI 기술을 경계하는 목소리가 터져나오는 이유다.
오픈AI의 경우 선거에 자사가 개발한 생성형 AI를 사용하는 것을 금지했다. 구글과 메타도 광고 이용을 규제 중이다. 하지만 딥페이크 기술은 날이 갈수록 정교해지는 추세다.
유권자로서는 SNS를 통해 전달되는 정보를 비교하고 판단하기 어렵다.
검증되지 않은 자극적인 정보를 반사적으로 공유하지 않기도 벅차다. 시대를 앞서가는 당국의 역할이 중요하다.
기존 법률의 틀 안에서 단속도 중요하지만 새로운 입법도 해야 한다. SNS 운영 기업에 가짜 유포 방지 책임을 지우는 것도 중요하다. 이용자가 많은 언어를 동시에 감시할 프로그램을 만드는 것도 필요하다.
생성형 AI 기술이 민주주의 질서를 파괴해선 안 될 일이다. MWC의 AI 열풍 못지않게 부작용 방지 기술 개발이 필요한 시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