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글로벌이코노믹 사설] 애플 빠진 전기차 위기극복 전략은

글로벌이코노믹

오피니언

공유
0

[글로벌이코노믹 사설] 애플 빠진 전기차 위기극복 전략은

애플은 최근 거액을 쏟아부은 차세대 전기차 개발 중단을 선언했다. 사진=연합뉴스이미지 확대보기
애플은 최근 거액을 쏟아부은 차세대 전기차 개발 중단을 선언했다. 사진=연합뉴스
애플이 차세대 전기자동차(EV) 시장에 도전한 게 10년 전이다.

애플카를 스마트폰처럼 만들려는 의도에서다. 자율주행 전기차의 선구자인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조차 ‘애플은 테슬라의 무덤’이라며 경계했을 정도다.
애플은 최근 거액을 쏟아부은 차세대 전기차 개발 중단을 선언했다. “차세대 자동차 개발은 스마트폰 제조보다 어렵고 폭스콘에 전기차 조립을 맡길 수도 없다”는 머스크의 예언이 적중한 셈이다.

애플이 빠진 차세대 전기차 시장은 풍전등화 신세다.
전례 없는 기술인 자율주행까지 가는 데 이정표 기업이 사라졌기 때문이다. 애플은 시총 3조 달러대 글로벌 최대의 플랫폼 기업이다. 이런 애플을 좌절시킨 요인은 기술 외에도 자원과 환경이다.

전기차에 필요한 광물자원은 휘발유차의 6배에 달한다. 배터리에 들어가는 리튬·니켈·코발트·망간 외에 차량에 필요한 철과 알루미늄도 있어야 한다.

테슬라조차 광물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을 정도다.

독일 벤츠사도 2030년 전기차 전환 계획을 포기한 상태다. 충전설비 등 인프라 확보에 거액의 보조금을 주고 있는 미국도 마찬가지다. 미국 전기차 판매량은 지난해 100만 대 돌파를 계기로 완만한 증가세다. 전기차 수요는 높은 자율주행차 기술 문턱을 대변하는 수치다.

관심사는 애플의 도전과 함께 전기차를 국가적으로 육성하기 시작한 중국 기업이다.

이른바 외국과 합작 방식으로 첨단 기술을 도입해 저비용 경쟁력으로 제조 우위를 점하는 게 중국의 전략이다.

전기차 필수재료인 코발트와 리튬을 대량생산해 배터리는 물론 차량 가격을 낮춘 게 유일한 경쟁력이다.

이런 장점을 잘 살려 도약한 기업이 바로 BYD다. BYD 등 중국 전기차는 이제 자동차 전용선까지 확보하고 유럽에도 진출했다. 일본에 이어 한국에도 상륙할 태세다.

중국 전기차의 저가 경쟁력을 극복하기는 불가능하다. 전기차의 미래를 제대로 보고 전략과 대응투자를 서둘러야 할 시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