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김대호 진단] 엔화환율 34년 최대 폭등…일본은행 그래도 망설이는 이유?

글로벌이코노믹

[김대호 진단] 엔화환율 34년 최대 폭등…일본은행 그래도 망설이는 이유?

김대호 박사 글로벌이코노믹  주필 겸 경제연구소장 /사진=SBS Biz 이미지 확대보기
김대호 박사 글로벌이코노믹 주필 겸 경제연구소장 /사진=SBS Biz
엔화환율이 급등하면서 일본 정부와 일본은행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당장에 외환시장에 들어가 달러를 대량 사들이는 방법으로 엔화환율을 인위적으로 끌어내릴 수도 있으나 강력한 외환시장 개입은 모처럼 불씨를 살려낸 디플레 탈출에 찬물을 끼얹을 수 있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지금의 상황을 방치하자니 엔화환율이 너무 올라 인플레가 폭발할 수도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이 대목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적정 환율이다. 엔화환율이 적정환율을 넘어설 조짐을 확실히 보이면 일본은행은 대대적인 외환시장 개입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외환보유액이 많은 일본으로서는 그 돈으로 얼마던지 환율 조정에 나설 수 있다. 일본이 외환시장에 본격 개입한다면 달러와 엔화 환율을 상당한 조정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일본 중앙은행인 일본은행 우에다 가즈오 총재가 엔화 약세로 수입 물가가 오르는 상황과 관련해 "무시할 수 없이 큰 영향이 된다면 금융정책 변경도 있을 수 있다"고 밝혔다. 교도통신과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 등에 따르면 주요 20개국(G20) 재무장관·중앙은행 총재 회의 참석차 미국을 방문 중인 우에다 총재는 이날 워싱턴DC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수입품 가격 상승으로 물가가 전체적으로 크게 오르면 추가로 금리를 올릴 수 있다"고 밝혔다. 엔/달러 환율은 올초 달러당 40엔대였으나, 이후 엔화 가치 하락(엔저)이 지속돼 최근에는 155엔에 육박하고 있다. 달러 대비 엔화 가치는 34년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이다.

일본 은행 우에다 총재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금리 인하 시기를 늦출 것이라는 관측이 확대되는 데 대해서는 "물가 상승률은 최근 3개월 정도는 답보 상태"라며 "큰 그림이 달라졌다기보다는 조금 더 (경제 상황을) 지켜볼 시간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환율이 오르고 있지만 적어도 물가 측면에서는 더 올라야한다는 뜻이기도 하다. 그는 지난달 금융정책결정회의에서 17년 만에 단행한 금리 인상과 관련해서는 "시장 등에서 큰 혼란이 없었다는 것에 안도하고 있다"는 의견을 피력했다. 일본은행은 지난달 금리를 올려 2016년 도입한 마이너스 금리 정책을 종료했다. 단기금리를 0∼0.1%에서 유지하고 있다. 일본은행은 4월 25과 26일에도 금융정책결정회의를 개최한다.
일본 공영방송 NHK는 "미국 경제가 견조하고 지난주 미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 고위 관계자가 금리 인하와 관련해 신중한 발언을 잇달아서 하면서 미일 금리차로 인해 엔화를 팔고 달러를 사는 움직임이 거세졌다"고 분석했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지난 16일 인플레이션이 2%로 낮아진다는 더 큰 확신에 이르기까지 기존 기대보다 더 오랜 기간이 걸릴 것 같다면서 기준금리를 당분간 인하하지 않고 유지하겠다는 뜻을 내비쳤다. 이달 들어서는 달러당 154엔대에 진입했다가 지난 19일 이스라엘이 이란을 공격했다는 보도가 나오면서 위험을 회피하려는 경향이 강해지면서 한때 달러당 153엔대로 내려갔다. 이후 중동 정세에 대한 경계감이 다소 누그러지면서 다시 엔화를 매도하고 달러화를 매수하는 움직임이 강해지고 있다. 스즈키 슌이치 재무상은 이날 각료회의 뒤 기자회견에서 "높은 긴장감을 갖고 보고 있다"며 "각국 관계 당국과 긴밀히 의사소통하면서 적절히 대응하겠다"고 엔저 추이에 경계감을 표시했다.

달러 강세와 일본 엔화의 이상 약세는 한국 원화환율에도 영향을 주고 있다. 원-달러 환율이 올 들어 7% 넘게 오르며 안 그래도 고물가에 시달리는 민생 경제를 위협하고 있다. 이 같은 환율 상승 폭은 국제통화기금(IMF) 외환위기와 글로벌 금융위기를 맞았던 1997년, 2008년 당시 연초 상승 폭을 웃돈다. 지금의 환율 급등을 과거와 같은 위기의 전조 현상으로 단정지을 수는 없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고금리 장기화와 중동 불안이 겹친 전 세계적인 ‘킹달러’(미국 달러화 초강세) 현상에 따른 것이기 때문이다. 그래도 대외 의존도가 높은 한국 경제는 미국발 고환율과 중동발 고유가 등 대외 리스크에 고민하지 않을 수 없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원-달러 환율은 지난해 말(1288.0원) 대비 7.3% 올랐다. 이는 1990년 3월 시장평균환율제도(외환 취급 은행이 원화와 달러화를 매매하는 시세에 따라 환율을 경정하는 제도)가 도입된 이래 같은 기간 최대 상승 폭이다. 외환위기 전인 1997년 1월 1일∼4월 19일 환율은 5.8% 오르는 데 그쳤다. 글로벌 금융위기가 일어난 2008년 같은 기간에는 6.9% 상승했다. 그해 9월 서브프라임 모기지(비우량 주택담보대출) 사태로 미국 투자은행 리먼브러더스가 파산을 신청하면서 글로벌 금융위기가 본격화됐다.

앞서 4월6일 원-달러 환율은 17개월 만에 장중 1400원을 넘어서기도 했다. 최근 원-달러 환율이 급등한 것은 기본적으로 달러화 강세에 따른 것이다. 미국 경제가 탄탄한 소비와 고용을 바탕으로 ‘나 홀로 호황’을 누리면서 미 연준의 금리 인하가 지연될 것이란 전망이 커진 탓에 달러 가치 상승으로 이어졌다. 여기에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무장단체 하마스 전쟁에 이어 이스라엘과 이란 간 무력충돌 등 지정학적 위기가 고조된 것 역시 안전자산인 달러 수요를 부추겼다.

킹달러 현상이 전 세계적으로 나타나는 가운데, 원화 가치는 실제 달러 가치 상승분보다 더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6개국 통화 대비 달러 가치를 나타내는 달러인덱스는 올 들어 이달 19일까지 4.7% 높아졌다. 원화 가치가 2.6% 더 떨어진 것이다. 안동현 서울대 경제학과 교수는 “가계부채와 기업부채가 많은 나라일수록 통화 가치가 대외 변수에 더 민감할 수밖에 없다”며 “현재 여전히 높은데 고환율이 수입물가를 부추기고, 중동 갈등마저 장기화된다면 한국은 스태그플레이션(경기 침체 속 물가 상승)에 빠질 가능성도 있다”고 말했다.

앞서 한미일 재무장관들은 지난 17일 미국 워싱턴 DC 재무부에서 첫 3개국 재무장관회의를 열고 "최근 "는 내용을 담은 공동선언문을 채택한 바 있다.이 공동선언문 발표 이후에도 엔화환율 급등 현상은 좀처럼 수습되지 않고 있다. 외환시장 일각에서는 미국의 일본의 엔화 환율 조정 개입의지가 아직은 약한 것으로 보고있다.

실제로 공동선언문의 톤도 약하다. 공동선언문을 보면 "엔화와 원화의 급격한 평가절하에 대한 일본과 한국의 심각한 우려를 인지했다"로 되어 있다. 미국이 개입하겠다는 표현은 없고 일본과 한국의 우려를 인지했다는 수준이다. 바로 이 대목에서 외환전문가들은 일본 엔화 환율 추가 상승에 베팅하고 있는 것이다.


김대호 글로벌이코노믹 연구소장/ 경제학 박사 tiger8280@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