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기자수첩] "일론 머스크는 오픈AI가 싫다"…사업 내 사적 감정, 어디까지?

공유
0

[기자수첩] "일론 머스크는 오픈AI가 싫다"…사업 내 사적 감정, 어디까지?

애플과 오픈AI의 협업 소식이 전해지자 일론 머스크가 "오픈AI를 탑재한 애플 기기의 사내 반입을 전면 금지시키겠다"는 입장을 표명했다. 표면상으로는 애플과 타사의 파트너십으로 용납할 수 없는 '보안 위반'을 이유로 내세웠지만, 업계에서 일론 머스크와 샘 올트먼의 사이가 견원지간이라는 것은 누구나 다 아는 사실이다.

애플은 "애플 기기 사용의 핵심에 생성 모델을 배치하면서 개인정보도 함께 보호할 것이며 AI 구동 과정에 개인정보 침해는 없을 것"이라고 설명했지만 일론 머스크에게 더 이상 해명은 중요하지 않은 모습이다. 일론 머스크가 소유한 X(옛 트위터)에 올린 이미지만 보더라도 그렇다.
물론 그가 오픈AI의 창립 멤버 중 한 사람으로서 제기하는 정당한 이의에는 불만이 없다. 오픈AI는 인공지능의 발전을 통해 인류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자 모인 초기 설립 취지와 달리 '닫힌(Close)AI'라는 오명을 뒤집어쓴 상황이다. 수익 창출에 치중하는 모습은 생판 남들이 봐도 눈살을 찌푸리게 하는데, 일론 머스크는 오죽하겠는가 싶다.

그렇다고 해서 오픈AI를 향한 일론 머스크의 비난, 간섭, 태클이 정당화되는 것은 아니다. 인공지능의 발전은 인류의 미래와 직결된다. 지금까지의 일상이 완전히 달라질 수 있는 과도기에 접어든 지금, 그 변화를 이끌어 가는 빅테크 기업의 수장 중 한 사람이 이토록 책임감 없는 행보를 보이는 것에 탄식이 나올 뿐이다. 이쯤 되니 회사의 가치와 자신의 이름에 스스로 먹칠을 하고 있다는 인상을 지울 수 없다.

일론 머스크와 샘 올트먼의 싸움이 법정 공방으로까지 번진 현재, 두 사람 사이의 악감정은 해소가 요원해 보인다. 이와 별개로 본인의 사적 감정과 사업이 한데 섞이는 행동은 지양해 줬으면 한다. 시대의 변화를 이끄는 리더의 자리에 있는 현재, 공과 사를 확실히 구분할 필요가 있음을 깨닫길 바라는 바다.


편슬기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yeonhaeyo@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