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글로벌이코노믹 사설] EU도 중국산 EV에 관세 폭탄

공유
0

[글로벌이코노믹 사설] EU도 중국산 EV에 관세 폭탄

미국에 이어 유럽연합(EU)도 중국산 순 전기차(EV)에 추가 관세를 7월 4일부터 부과하기로 했다. 사진은 작년 독일 모터쇼에 나온 비야디 전기차. 사진=AP/연합뉴스이미지 확대보기
미국에 이어 유럽연합(EU)도 중국산 순 전기차(EV)에 추가 관세를 7월 4일부터 부과하기로 했다. 사진은 작년 독일 모터쇼에 나온 비야디 전기차. 사진=AP/연합뉴스
미국에 이어 유럽연합(EU)도 중국산 순 전기차(EV)에 추가 관세를 7월 4일부터 부과하기로 했다.

중국 정부의 보조금을 받아 저가로 유럽 시장에 판매한다는 이유에서다. 보조금을 가장 많이 받는 상하이 자동차 등 3개 국유기업에 대해서는 38.1%의 관세가 더해진다. 현행 관세 10%를 더하면 총 48.1%의 관세를 부과하는 셈이다.
BYD 등 민간기업에도 17.4%의 관세를 추가했다. 평균 관세율로 따지면 31%다. 구미에서 생산하는 EV와 중국산 수입 제품 간 가격 차이가 없어진 셈이다.

유럽이 중국서 수입하는 EV는 지난해 기준 30만 대 정도다. 전체 수입 대수의 20%에 해당하는 물량이다. 금액으로 따지면 110억 유로에 이른다.

중국의 전기차 수출물량의 40%를 유럽에 내다 판 셈이다. 물론 이 중 60%는 미국 테슬라와 프랑스 르노 등의 제품이다. 특히 상하이에서 생산하는 테슬라가 중국 EV 수출품의 28%를 차지하고 있다.

중국 자동차 기업들은 EU의 관세 장벽을 피해 유럽 생산 비중을 늘리는 추세다.

스웨덴 볼보의 경우 SUV 등 일부 차량을 벨기에에서 생산하기로 한 상태다. 대주주인 중국 저장성 지리 자동차가 관세 장벽을 피하려고 취한 조치다.

중국 치루이 자동차도 2027년부터 스페인에서 EV를 생산하기로 한 상태다. BYD의 경우 지난해 12월부터 헝가리에 조립공장을 건설 중이다. 앞으로 멕시코·동남아 등 전 세계 각지에 생산기지를 확보한다는 전략이다.
중국 EV의 유럽 판매량은 4월 기준 10.1% 증가했다. 1년 전 12.5%의 증가율보다는 조금 둔화한 수치다.

EU의 추가 관세에 대해 중국 상무부는 WTO 위반이라며 보복카드를 준비 중이다. 가장 불안한 게 중국 시장 의존도가 높은 독일 자동차 업계다. 하지만 EU는 지난해 10월 중국의 보조금 조사에 이어 12월 최종 결론을 내린 상태다.

중국의 보복과 자동차 무역 환경 변화를 주시할 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