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글로벌이코노믹 사설] 인도 총선 결과로 본 체감경기

공유
0

[글로벌이코노믹 사설] 인도 총선 결과로 본 체감경기


인도의 지난해 GDP 실질 성장률은 8.2%다. 사진은 지난달 4일 인도  뉴델리 BJP 당사에 도착한  모디  총리(왼쪽). 사진=AFP/연합뉴스이미지 확대보기
인도의 지난해 GDP 실질 성장률은 8.2%다. 사진은 지난달 4일 인도 뉴델리 BJP 당사에 도착한 모디 총리(왼쪽). 사진=AFP/연합뉴스

인도의 지난해 GDP 실질 성장률은 8.2%다.
2016년 이후 8%대의 성장률을 지속하고 있다고 발표한 다음 날 치러진 총선에서 인도인민당은 의석을 잃었다. 모디 총리가 집권한 2014년 이후 처음 맛본 의외의 선거 결과다. 원인은 체감경기다. 고성장 국면에서도 산업별 명암이 크게 갈린 탓이다.

인도 일자리의 46%를 차지하는 농림·수산 분야의 성장률은 1.4%로 저조했다. 1년 전 성장률인 4.7%에도 못 미친 초라한 수준이다.
인도 일자리의 12%를 책임진 상업과 관광업 부가가치는 6.4%다.

1년 전의 두 자릿수 성장과 비교하면 반토막이다. 한마디로 60%를 책임지는 분야에서 느끼는 체감경기가 불경기였다는 점이 선거 패배의 일등 공신인 셈이다.

반면 공공투자 확대로 건설업과 제조업은 10% 가까운 성장률을 기록했다. 인구의 25%지만 건설 종사자의 임금이 낮다 보니 두 자릿수 성장률을 체감하기 힘든 구조다.

인도의 가계소득도 낮다. 국제노동기구(ILO)가 지난 3월 발표한 인도 취업보고서를 보면 실질 월소득은 10년 사이 14% 줄어든 상태다. 매년 1.6%씩 감소한 셈이다.

인도 정부 통계를 보면 1분기 공식 실업률은 6.7%다. 공식 실업률은 고용시장 구직등록자 기준이다.

일자리를 구하지 않고 노는 ‘니트족’은 2022년 기준 16.8%다. 특히 20세에서 24세의 36%, 25세에서 29세의 39%가 니트족이다. 20대 청년 9400만 명이 여기에 속한다. 여성의 노동시장 참여율도 32% 정도다.

인도 인구는 연간 1000만 명씩 증가하고 있다. 실업자 증가와 실질임금 감소가 동시에 일어날 수밖에 없는 구조다.

이렇다 보니 하루 3.75달러 이하로 살아가는 절대빈곤 인구는 전체의 46%다. 10년 전 60%에서 조금 줄어든 상태다.

인도의 GDP를 분석해보면 지난해 제조업 부가가치는 14% 정도로 농업보다 낮다. 인도가 중국을 따라잡기 힘든 이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