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글로벌이코노믹 사설] 전기차 배터리 화재 공포 없애려면

글로벌이코노믹

오피니언

공유
0

[글로벌이코노믹 사설] 전기차 배터리 화재 공포 없애려면

경찰은 지난 1일 인천 서구 청라국제도시 아파트 지하 주차장에서 발생한 화재로 전소한 화재 전기차를 지상으로 옮기고 있다. 사진=연합뉴스이미지 확대보기
경찰은 지난 1일 인천 서구 청라국제도시 아파트 지하 주차장에서 발생한 화재로 전소한 화재 전기차를 지상으로 옮기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국내 전기차는 60만 대 정도다. 자율주행 전기차 시대를 앞두고 정부에서 보조금을 주며 육성한 결과다.

전기차의 핵심인 배터리는 화재에 취약하다. 지난 6월 화성 아리셀 공장 화재와 최근의 인천 청라 지하주차장 화재 이전에도 리튬배터리 사고는 끊이지 않았다.
스마트폰 폭발에서 전동퀵보드 화재까지 다양하다. 주변을 살펴보면 전동카트·전동공구·무선청소기·캠핑용 보조배터리 등에도 화재에 취약한 배터리가 들어가 있다.

배터리 화재에서 발생하는 열(熱)폭주 현상은 공포의 대상이다. 화재를 진압할 소화기 자체가 없기 때문이다. 한 번 불이 붙으면 진압할 수 없으니 연쇄적인 화재로 이어질 위험도 크다.
배터리 안의 리튬은 액체인 리튬 산화물이다. 160와트시(Wh) 용량을 넘는 배터리는 항공기 반입도 막는 이유다.

앞으로 전기차와 배터리를 미래 먹거리 산업으로 육성하려면 생산보다 안전 기술을 먼저 확보하는 게 급선무다.

지멘스의 전기차 화재 안전백서나 네이처에 실린 논문을 보면 리튬이온 배터리 화재 진화 방법은 냉각이다.

스프링클러를 통한 물 분사로는 어렵고, 고압 워터스프레이를 사용해야 한다. 물 사용량을 최고 100분의 1로 줄이면서 초기에 열폭주를 진압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국립소방연구원의 전기차 화재 대응 가이드도 냉각 소화를 권고하고 있다. 전기차 충전구역과 소화기를 5m 이상 떨어진 곳에 설치해야 접근 소화를 할 수 있다.

12일 열린 환경부·국토교통부·산업통상자원부와 소방청의 대책회의는 '사후 약방문' 격이다. 정부가 보조금을 줘가며 전기차와 배터리 산업을 육성 중이지만 제조업체의 안전 지도에는 손을 놓고 있었기 때문이다.

정부의 과제는 일련의 화재 조사 결과를 투명하게 공개하고 후속 조치를 내놓는 일이다. 국민이 배터리 사용을 멀리하고 전기차의 지하주차장 출입까지 막는 일이 벌어지지 않도록 해야 한다.

전기차와 배터리 산업을 발전시키기 위한 전제 조건도 안전성을 확보하는 일이다.


김종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85kimjc@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