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출을 제때에 못 갚아 신용유의자로 분류된 20대가 6만2580명에 이른다. 3년 만에 25%나 증가한 수치다.
청년층을 신용불량자로 내몬 가장 큰 원인은 주거비 상승 등 고물가다. 전월세를 구하기 위해 대출을 받는 경우가 가장 많기 때문이다.
소액 대출을 받은 청년이 순식간에 빚더미에 올라앉을 수 있는 구조다. 게다가 학자금이나 생계비 대출을 받고 이자를 못 내는 경우도 부지기수다.
청년층이 처한 현실을 반영하는 대목이다. 제대로 된 일자리가 늘어나지 않는 것도 문제다. 15세부터 29세까지 청년층 취업자는 최근 2년간 감소세다.
통계청 자료를 보면 1분기 20대 이하 일자리는 1년 전보다 10만2000개 감소한 상태다. 아예 구직활동도 하지 않고 그냥 쉬었다는 청년도 지난 7월 기준 44만3000명이나 된다.
일자리도 없고 구직활동마저 포기한 청년은 갈수록 늘어나는 추세다. 20·30대 신용불량자가 전체의 30%에 이르는 게 이상하지 않을 정도다.
양질의 일자리를 늘리지 못하면 청년층 빚 증가를 해결하기 힘들다. 하반기에 인력을 채용하겠다는 대기업 비중이 35%다. 취업을 준비하는 기간도 늘어나고 있다.
취업까지 걸리는 시간도 평균 14개월로 역대 최장이다. 졸업 후 취업까지 2년 이상 걸린 청년도 20%에 이른다.
부모의 지원을 못 받으면 취업도 하기 전에 신용불량의 덫에 빠지기 쉬운 상황이다.
의도치 않게 빚더미에 올라앉은 청년층을 파악하고 신용회복을 적극 지원하는 게 금융권과 당국의 의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