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글로벌이코노믹 사설] 재생에너지 공급과잉 덫에 걸린 중국

글로벌이코노믹

오피니언

공유
0

[글로벌이코노믹 사설] 재생에너지 공급과잉 덫에 걸린 중국

중국은 태양광, 전기차 등 재생에너지 부문에서의 공급과잉이 우려되고 있다. 사진은 중국 전기차업체 비야디의 모델 '탕(Tang)'. 사진=연합뉴스이미지 확대보기
중국은 태양광, 전기차 등 재생에너지 부문에서의 공급과잉이 우려되고 있다. 사진은 중국 전기차업체 비야디의 모델 '탕(Tang)'. 사진=연합뉴스
중국 태양광 패널은 전 세계 시장의 59.3%를 점유 중이다. 글로벌 제조업체 ‘톱5’가 모두 중국 기업일 정도다.

중국 태양광 패널 생산업체의 상반기 실적으로 보면 전년 동기 대비 큰 폭의 손실을 기록한 상태다. 생산 과잉으로 인해 가격이 제조원가 이하로 떨어졌기 때문이다.
제조할수록 손해를 보는 구조지만 생산을 멈출 수도 없다. 현금 흐름을 유지하기 위해서다. 수출 채산성도 나쁘기는 마찬가지다.

전 세계 시장 점유율이 44.2%인 풍력발전기도 마찬가지다. 글로벌 5대 기업 중 4개는 중국 기업이 차지하고 있다. 세계 시장 점유율 13.9%인 골드윈드사의 경우 유럽 최대 기업인 덴마크의 베스타스사를 제치고 1위에 올랐다.
닛케이 보도를 보면 중국은 태양광·풍력 분야에서 5년 전보다 2배 정도 약진했다. 탈탄소 등 재생에너지 분야에 거액의 보조금을 주며 육성한 결과다.

순수 전기차(EV)의 중국 기업 영향력도 독보적이다. BYD의 시장 점유율은 17%다. 1위인 테슬라(18.3%)를 1.3%p 차이로 추격 중이다.

전기차용 리튬이온 배터리 절연체 시장 점유율은 60%다. 톱5 기업 모두 중국 차지다. 차체 고정형 리튬이온 배터리도 CATL과 BYD가 1, 2위로 50% 이상을 점유하고 있다.

글로벌 공급망에서 중국 기업을 빼고 생각하기 힘들 정도다. 미국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 자료를 보면 중국 정부가 2009년부터 2023년까지 EV 산업에 지원한 자금만 2309억 달러다.

중국 기업은 정부 지원금으로 연구개발과 생산을 한 뒤 동남아 등 신흥시장에 수출을 늘리고 있는 셈이다. 미국과 유럽이 중국 기업의 과잉 생산과 덤핑 수출에 대해 관세를 높이는 등 대응조치에 나서는 이유다.

특히 동남아에 진출한 중국 기업에서 생산한 태양광 패널에 대한 관세 면제조치도 6월 종료한 상태다. 유럽에서는 풍력발전기 보조금 조사를 벌이고 있다.

중국 기업의 과잉 생산에 대한 조사와 대응을 강화해야 할 시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