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글로벌이코노믹 사설] 미세플라스틱 공포 생수 시장도 긴장

글로벌이코노믹

오피니언

공유
3

[글로벌이코노믹 사설] 미세플라스틱 공포 생수 시장도 긴장

국내에서 생수 판매가 허용된 게 1994년 4월부터다. 이른바 낙동강 페놀 오염사고 이후 수돗물에 대한 불신이 생기면서 외국인 관광객용 생수 판매를 일반인에게 확대한 것이다.

강, 바다로 흘러들어간 플라스틱은 파도, 자외선과 만나면서 잘게 쪼개져 각종 해양생물의 먹이 사슬에 끼어들고 결국 고농축된 상태로 최상위 포식자인 인간의 식탁에 오르거나 생활용품에 스며들게 된다. 사진=뉴시스이미지 확대보기
강, 바다로 흘러들어간 플라스틱은 파도, 자외선과 만나면서 잘게 쪼개져 각종 해양생물의 먹이 사슬에 끼어들고 결국 고농축된 상태로 최상위 포식자인 인간의 식탁에 오르거나 생활용품에 스며들게 된다. 사진=뉴시스

외국인에 대한 판매는 1988년 서울올림픽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물론 그 이전에도 생수 업체는 존재했다. 1976년 이후 미군 부대에 생수를 납품하는 업체들이다.

낙동강 오염사고가 나자 생수업체들은 기다렸다는 듯 법원에 소송을 냈고 결국 승소한 것이다.

국내 생수 시장은 지난해 기준 2조3000억 원 규모다. 생수를 파는 업체도 300여 개에 이른다.

수돗물을 그냥 마시는 사람을 거의 찾아보기 힘들 정도다. 하지만 국내에서 팔리는 생수 병중 90%에서 미세플라스틱이 검출된 상태다. 플라스틱이 분해되는 과정에서 지름 5nm(나노미터·10억분의 1m) 이하의 미세플라스틱이다.

전 세계 시장에서 1분에 100만 병씩 팔리는 생수 시장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관심사다.

그렇다고 수돗물을 마시기도 불안하다. 노후 파이프에서 나오는 녹물 등 수돗물에 대한 불신이 여전하기 때문이다.

현재로선 플라스틱 사용을 줄이는 게 유일한 대안인 셈이다. 전 세계에서 생산하는 플라스틱 양은 4억6000만 톤이다. 이중 일회용 플라스틱 배출은 2021년 기준 1억3900만 톤 규모다. 분당 트럭 한 대 분량의 플라스틱 쓰레기가 바다에 버려지는 셈이다.

우리나라의 플라스틱 배출은 인당 102kg 정도다. 500ml 생수병 8500개 만큼 버리는 셈이다. 바다에 떠다니는 5조 개 이상의 미세플라스틱은 수거도 불가능하다. 1인당 일주일에 5g의 미세플라스틱을 먹고 있다는 보고도 있다.

미세플라스틱은 몸 밖으로 배출되지도 않아 고혈압과 당뇨 심혈관 질환 위험을 높아는 한편 바다 생물의 생태계까지 파괴한다.

내달 말 부산서 열리는 국제플라스틱 국제협약 성안을 위한 5차 회의에 관심을 가지고 저감 운동에도 동참해야 할 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