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글로벌이코노믹 사설] ‘코리아 디스카운트’ 해소가 시급한 이유

글로벌이코노믹

오피니언

공유
0

[글로벌이코노믹 사설] ‘코리아 디스카운트’ 해소가 시급한 이유

기업은 증시를 통해 투자나 인수합병을 위한 자금을 조달한다. 증시에 돈이 몰리면 기업과 경제를 성장시킬 수 있다.

증시를 경제 성장의 엔진에 비유하는 이유다. 미 증시의 경우 3분기 중 채권 펀드에 투자한 자금만 1230억 달러다. 이 중 930억 달러는 채권형 상장지수펀드(ETF)다.
이른바 ‘서학 개미’로 불리는 한국의 해외 주식 투자자는 710만7948명이다. 전년보다 50만 명 늘었다. 해외 주식 보유자는 지난해 말 기준으로 1400만 명으로 국내 주식 투자자와 비슷한 규모다.

국내 투자자가 해외 주식과 채권에 투자하는 이유는 한국 증시에 대한 실망감 때문이다.
미국의 경우 최근 연준(Fed)의 통화 완화 정책으로 경제 호조에 대한 기대도 올라간 상태다. 금리 인하 지연 등으로 올해 3분기 말까지 2.34% 하락한 코스피나 11.85% 떨어진 코스닥 지수와 대조적이다.

미국뿐만 아니라 전쟁 중인 이스라엘을 비롯해 일본·중국·대만 증시도 상승세다. 그렇다고 한국의 경제지표가 최악인 상황도 아니다. 심각한 '코리아 디스카운트'의 단면인 셈이다.

최근에 만든 코리아 밸류업 지수도 우수기업 투자에 별 도움을 주지 못하는 모습이다. 정부의 기업 밸류업 지원방안도 부실하긴 마찬가지다.

기업의 참여를 자율에 맡기다 보니 나타난 현상이다.

지수를 주도하는 삼성전자·SK하이닉스·현대차·LG에너지솔루션 등 시총 상위 기업 역할도 시원치 않다. 코스피200 등 우량주로 구성된 기존 지수와 다를 게 없다는 지적도 있을 정도다.

지수 하나 개발했다고 달라질 것은 없다. 역동성을 잃은 증시를 살릴 묘안은 실적 개선뿐이다.

올해 실적이 부진한 삼성전자는 24.5%나 하락했다. 네이버(22.6%)·카카오(31.1%)의 추락이 해외 주식 투자 붐으로 이어진 것이다. 실적이 뒷받침해주지 않으면 금융투자소득세 처방도, 상법 개정 처방도 소용없다.

외국인 투자 자금이 한국을 빠져나가는 신호를 심각하게 받아들여야 할 시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