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제 카드사들의 성적표를 보면 언뜻 ‘배부른 소리’로 인식할 수 있다. 올해 3분기까지 실적을 발표한 신한·삼성·KB국민·우리카드 등 4개사의 누적 당기순이익은 1조5946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3.75% 개선됐다. 전체 카드사인 우리·KB국민·롯데·BC·삼성·신한·하나·현대카드 등 8개 전업 카드사들의 상반기 순이익은 1조4990억원으로 작년 동기(1조4168억원) 대비 822억원(5.8%) 증가했다.
소비자 혜택이 축소되기 시작한 때도 이 당시부터였다. 곰곰이 생각해보면 과거에 카드 혜택이 훨씬 좋았다. 전월 실적 20만원에서 30만원만 충족해도 할인 혜택을 받을 수 있었고, 포인트 적립도 더 잘됐다. 연회비 수준도 현재보다 당연히 낮았다. 소비자가 부담해야 할 수수료를 카드사와 가맹점이 협의를 통해 감당하는 구조였기 때문이다.
다만, 이 모든 문제를 카드사 탓으로만 돌리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 기형적인 수익구조의 출발점은 가맹점 수수료와 관련한 적격비용 산출이라는 ‘제도적인’ 변화가 명백한 증거다. 금융 혁신이 제도에 가로막힌다면, 그것 역시 바꾸는 게 혁신이다.
김병환 금융위원회 위원장은 얼마 전 기자간담회에서 은행에 대해 혁신이 없다며 비판한 바 있다. 카드사들은 제도적인 한계로 인해 은행보다 더한 장벽에 직면해 있다. 다음 달에는 적격비용 산정이라는 또 한번의 장벽이 예고돼 있다. 지금은 주문보다도 혁신을 위해 바꿔줄 때다.
홍석경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hong@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