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의 대선 승리로 미국 적자의 40%를 차지하는 양국은 통상정책의 타깃으로 떠오른 상태다. 미국과의 무역에서 502억 달러 흑자를 낸 한국도 트럼프 경제공약의 파급력을 파악해야 하는 건 마찬가지다. 베트남·독일·아일랜드·대만에 이어 7번째 적자국으로 부상했기 때문이다.
대선 압승에 결정적으로 기여한 ‘러스트 벨트’ 표심에 보답하는 의미에서다. 관세를 늘리면 재정적자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감세 공약을 이행하는 데도 도움이 된다.
골드만삭스에 따르면 자동차와 중국 상품에 대한 관세 공약이 실행되면 미 개인소비지출(PCE)물가를 0.3~0.4%p 올린다는 추산이다. 게다가 국가 간 보복관세 도미노를 촉발할 게 분명하다.
글로벌 무역전쟁을 피하기 힘든 구조다. 국제통화기금(IMF) 보고서를 보면 관세 장벽으로 인한 글로벌 무역량 감소율은 2026년 4%에 이를 전망이다.
트럼프는 2016년 당시에도 자국 산업 보호를 위한 관세 인상과 자유무역협정 파기 등 미국 우선주의 정책을 취했다. 중국과 유럽연합은 바로 미국산 철강과 오토바이 등에 보복관세를 물리며 맞대응했다.
미국·중국과의 무역 의존도가 높은 한국으로선 트럼프 2기에 경제뿐 아니라 안보 면에서의 대응도 중요하다. 다른 나라에 비해 받을 충격이 크기 때문이다.
글로벌 통상 환경 변화에 발 빠르게 대비해야 하는 이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