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글로벌이코노믹 사설] ‘계엄 패닉’ 금융시장 불안 해소하려면

글로벌이코노믹

오피니언

공유
0

[글로벌이코노믹 사설] ‘계엄 패닉’ 금융시장 불안 해소하려면

 최상목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을 비롯한 국무위원들이 8일 오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관계부처 합동 성명문 '국민께 드리는 말씀'을 낭독하고 있다. 사진=뉴시스이미지 확대보기
최상목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을 비롯한 국무위원들이 8일 오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관계부처 합동 성명문 '국민께 드리는 말씀'을 낭독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비상계엄 사태로 인한 금융시장 충격은 장기적이다. 예상치 못한 대형 사건인 만큼 국내외 시장의 불안 심리를 회복하는 데에도 긴 시간이 걸릴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정부가 발 빠르게 50조원 규모의 증시 채권안정펀드 가동을 발표한 것도 이런 연유에서다. 한국은행도 시중에 자금을 수시로 공급하기로 했다.
하지만 경기침체 등으로 취약해진 한국 경제 상황을 고려하면 금융시스템 리스크로 번지는 것을 막아야 하는 단계다.

우선 한국 경제와 금융시장에 대한 신인도 타격은 불가피하다. 외화채권 발행 기업은 '코리아 디스카운트'로 인해 어려움에 처했다.
국가신용도 하락으로 자본 유출이 가속되면 환율에 타격을 주게 된다. 그렇지 않아도 약세인 달러당 원화 가치 하락 속도는 글로벌 최상위 수준이다. 원화 가치의 급격한 하락은 수출입에도 매우 불리하다.

이와 함께 외화채권의 원리금 상환도 어려워지는 등 치러야 할 시장 비용은 생각보다 늘어날 수 있다.

한국의 신용등급은 역대 최고 수준이지만 계엄 사태로 향후 등급변화를 주시해야 한다. 국제신용평가사인 S&P는 한국의 신용등급을 AA로 유지한다는 게 기본 입장이다.

앞으로 정치적 갈등이 장기화되면 신용에 부정적이라는 무디스의 입장과도 다르지 않다. 그렇지 않아도 한국의 신용 위험을 보여주는 CDS 프리미엄은 0.34%p 내외다. 채권을 발행한 기업이나 국가가 더 부담해야 하는 셈이다.

증시 타격도 불가피하다. 트럼프 당선 이후 코스피 기준 5% 이상 하락한 국내 증시도 하방 압박을 더 받을 수 있다.

거래 대기 자금인 투자자 예탁금도 8월 이후 10조원 넘게 감소했다. 외국인이 6개월간 12조원어치 순매도한 탓이다. 채권시장에서도 외국인 자금이 이탈하면 유동성 위기를 겪을 수도 있다.

비상계엄 사태 이후 국내 투자자들 중에도 자산을 미국 펀드로 옮기려는 움직임이 일고 있다. 국장 탈출을 막기 위한 신용회복 노력에 나서야 할 시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