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발 빠르게 50조원 규모의 증시 채권안정펀드 가동을 발표한 것도 이런 연유에서다. 한국은행도 시중에 자금을 수시로 공급하기로 했다.
우선 한국 경제와 금융시장에 대한 신인도 타격은 불가피하다. 외화채권 발행 기업은 '코리아 디스카운트'로 인해 어려움에 처했다.
이와 함께 외화채권의 원리금 상환도 어려워지는 등 치러야 할 시장 비용은 생각보다 늘어날 수 있다.
한국의 신용등급은 역대 최고 수준이지만 계엄 사태로 향후 등급변화를 주시해야 한다. 국제신용평가사인 S&P는 한국의 신용등급을 AA로 유지한다는 게 기본 입장이다.
앞으로 정치적 갈등이 장기화되면 신용에 부정적이라는 무디스의 입장과도 다르지 않다. 그렇지 않아도 한국의 신용 위험을 보여주는 CDS 프리미엄은 0.34%p 내외다. 채권을 발행한 기업이나 국가가 더 부담해야 하는 셈이다.
증시 타격도 불가피하다. 트럼프 당선 이후 코스피 기준 5% 이상 하락한 국내 증시도 하방 압박을 더 받을 수 있다.
거래 대기 자금인 투자자 예탁금도 8월 이후 10조원 넘게 감소했다. 외국인이 6개월간 12조원어치 순매도한 탓이다. 채권시장에서도 외국인 자금이 이탈하면 유동성 위기를 겪을 수도 있다.
비상계엄 사태 이후 국내 투자자들 중에도 자산을 미국 펀드로 옮기려는 움직임이 일고 있다. 국장 탈출을 막기 위한 신용회복 노력에 나서야 할 시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