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글로벌이코노믹 사설] 개인정보 보호에 무책임한 정부

글로벌이코노믹

[글로벌이코노믹 사설] 개인정보 보호에 무책임한 정부

금융위원회는 지난해 4월 은행회관 뱅커스클럽에서 마이데이터 2.0 추진 방안 발표 회의를 열었다. 사진=뉴시스이미지 확대보기
금융위원회는 지난해 4월 은행회관 뱅커스클럽에서 마이데이터 2.0 추진 방안 발표 회의를 열었다. 사진=뉴시스
마이데이터 사업은 여기저기 흩어진 개인정보를 모아 거래할 수 있도록 한 제도다.

여러 금융기관 데이터를 기반으로 맞춤형 금융상품이나 정보를 추천해 주는 식이다. 다시 말해 개인정보를 쉽게 조회하고 거래할 수 있도록 하는 게 핵심이다.

금융사나 사업자는 개인정보를 활용해 다양한 상품을 판매할 수 있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하지만 커피를 사 마시는 데 돈을 많이 쓴 소비자에게 적금 가입을 권유하면 소비자로서는 큰 혜택을 기대하기 힘들다.

취지와 달리 개인정보가 시중에 유통되는 것도 문제다.
각종 스팸 문자와 보이스피싱의 근원지도 알고 보면 개인정보다. 휴대전화 스팸 문자는 지난해에만 3억 건에 육박했을 정도다. 1년 전 1억6700만 건의 스팸 문자 수의 두 배 수준이다.

공공기관에서 나간 개인정보도 300만 건을 넘어섰다. 심지어 해외로 넘어가는 개인정보도 많다. 카카오페이의 경우 중국 측 주주인 알리페이로 넘어간 4000만 국민의 개인정보만 지난 6년간 542억 건에 달했다.

애플, 구글, 메타 등 해외 빅테크 기업의 영업 기반도 별반 다르지 않다. 가끔 스마트폰으로 인터넷 검색을 하면 다음 날 관련 광고가 뜨는 경험을 하는 이유다.

음성비서 서비스 등 온갖 정보가 주변 디지털 기기에 데이터의 형태로 쌓이고 거래되기 때문이다. 스마트폰은 이용자의 음성 데이터도 수집할 수 있다.

개인 맞춤형 SNS 광고에 깜짝깜짝 놀라는 이유다. 실제로 개인 맞춤형 광고의 효과는 상당히 높은 편이다.

전 세계적으로도 개인정보 보호를 강화하는 추세다. 유럽연합(EU)은 개인정보 보호에 소극적인 빅테크 기업에 과징금을 부과하는 한편 인공지능(AI) 학습을 위한 고객 데이터 사용도 조사 중이다.

한국의 경우 개인정보 보호 의지를 의심할 정도다. 당국의 관리·감독은 제각각이고 규제 입법도 기대하기 힘들다.

그런 사이 빅테크 기업의 독점과 폭력·음란·가짜뉴스 콘텐츠 유통은 늘고 있다. 피해는 고스란히 소비자 몫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