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글로벌이코노믹 사설] 국제질서 뒤흔드는 트럼프 정책 속셈은

글로벌이코노믹

[글로벌이코노믹 사설] 국제질서 뒤흔드는 트럼프 정책 속셈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1일(현지 시각) 워싱턴 백악관 루즈벨트룸에서 연설하고 있다. 사진=AP/뉴시스이미지 확대보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1일(현지 시각) 워싱턴 백악관 루즈벨트룸에서 연설하고 있다. 사진=AP/뉴시스
트럼프가 취임 첫날 서명한 행정명령은 46건이다. 첫날 기준 역대 최다 기록이다.

불법 이민자 차단을 위한 비상조치는 예상됐던 일이다. 하지만 미국에서 태어난 불법 체류자의 자녀에 대해 시민권을 주지 않는다는 행정명령은 미 헌법 14조에 반하는 조치다.

미국에서 태어난 모든 사람에게 시민권을 준다는 출생지주의를 부정하는 것이어서 향후 법적 논란과 소송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파리기후협정이나 세계보건기구(WHO) 탈퇴 등 기존 국제질서를 뒤흔들 만한 내용도 부지기수다. 파리기후협정 탈퇴는 트럼프 1기에 이어 두 번째다. 대신 에너지 비상사태를 선포하고 석유 등 화석에너지 탐사를 늘려 나간다는 속셈을 숨기지 않고 있다.
지구온난화를 막기 위한 국제 분위기를 흐릴 수 있는 대형 이슈를 터뜨린 셈이다. 지구 평균온도를 산업화 이전 기준 1.5도 이하로 막지 못하면 인류의 생존을 위협당할 수 있다는 경고를 무시한 처사이기 때문이다.

WHO 탈퇴도 2020년 코로나19 확산 당시부터 추진했던 사안이다. WHO가 중국에 편향적이라는 이유에서다. 하지만 탈퇴 절차가 늦어지면서 1기 임기에서 처리하지 못한 과제다.

이 밖에 파나마 운하와 그린란드로의 영토 확장 의지를 표명하는 등 상대국의 주권에 도전하는 발언도 서슴지 않고 있다. 특히 미국 대통령이 북한을 핵보유국으로 표현한 것은 북한과의 군축 협상을 염두에 둔 계산된 발언이다.

자유무역협정(FTA)도 마찬가지다. 멕시코와 캐나다에는 2월부터 추가 관세를 부과하기로 했다. 멕시코와 캐나다에 진출한 우리 기업의 타격도 불가피하다.

미 무역대표부(USTR)에 기존 무역협정을 재검토하라는 행정명령도 발동했다. 한·미 자유무역협정(FTA)도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크다. 기존 동맹국을 우대하는 대신 양국 간 거래를 중시하는 트럼프 정부와 협상력을 높이는 게 중요하다.

트럼프 1기 때 경험했던 내용을 반면교사로 삼고 거국적인 2기 대책을 마련해야 할 시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