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일 부산항 감만·신감만 부두에서 컨테이너 선적 및 하역 작업이 진행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https://nimage.g-enews.com/phpwas/restmb_allidxmake.php?idx=5&simg=2025021110100100437290c42db76222107127235.jpg)
과거 사례만 봐도 그렇다. 대표적인 부문이 디스플레이이다. 10년 전만 해도 한국은 액정표시장치(LCD)와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디스플레이의 대표 주자였다. 지금은 LCD 시장을 중국이 장악했다. 프리미엄 제품군으로 분류되는 OLED TV도 중국이 따라잡고 있다. 차세대 디스플레이로 일컬어지는 무기발광다이오드(iLED)는 한국과 중국이 누가 먼저 양산·상용화에 성공할지를 두고 경쟁하고 있다.
이처럼 한국과 중국의 기술 격차가 좁혀지는 패턴이 여러 분야에서 나타나지 않을까 각계가 우려하고 있다. 조선 분야는 친환경 선박과 특수선 등 기술력 면에서 한국이 우위에 있지만, 지난해 표준선 환산톤수(CGT) 기준 전 세계 신조선 수주의 71%를 중국이 차지해 걱정이 크다. 자동차는 중국 BYD가 한국 자동차 기업들을 겨냥해 한국 시장 진출을 본격화했다. 이들 분야에서도 중국의 인공지능(AI) 스타트업 '딥시크' 같은 충격파가 나타날 수 있다.
문제는 경제 현장과 정책 결정자들 사이의 인식과 태도의 차이이다. 중국의 추격과 부진한 경제지표를 피부로 느끼는 기업들은 경쟁에서 뒤처지지 않으려고 열심히 뛰는 중이다. 그룹 총수와 기업 최고경영자가 해외를 돌며 사업 돌파구를 마련하고, 임직원들은 일선에서 연구개발과 생산 등 자기 역할에 최선을 다하고 있다. 그런데 정치권은 이마저도 정쟁거리로 이용한다. 중국과 기술 격차를 벌릴 국가 전략을 제대로 내놓지 못하면서, 중국 딥시크 돌풍조차 여야가 서로를 비난하는 소재로 이용했다. 중국발(發) 기술 공세가 한국의 경쟁력 강화 기회 대신 위기를 보고만 있는 ‘회색 코끼리’로 다가오는 건 아닌지 우려된다.
정승현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jrn72benec@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