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글로벌이코노믹 사설] 우크라이나 재건사업 주도권 경쟁 치열

글로벌이코노믹

[글로벌이코노믹 사설] 우크라이나 재건사업 주도권 경쟁 치열

정부가 지난 1월 우크라이나 재건사업추진현황을 공유하고 한국 기업의 향후 재건시장 진출 지원강화 방안을 논의하는 회의를 열었다. 사진=연합뉴스 이미지 확대보기
정부가 지난 1월 우크라이나 재건사업추진현황을 공유하고 한국 기업의 향후 재건시장 진출 지원강화 방안을 논의하는 회의를 열었다. 사진=연합뉴스
미국과 러시아 주도로 우크라이나 휴전 논의가 한창이다.

트럼프와 푸틴 간 대화에 이어 양측 고위급 회담도 사우디아라비아에서 진행 중이다. 당사자인 우크라이나나 유럽은 미·러 주도의 휴전 논의에 당황하는 모습이다.

유럽 정상들이 파리에서 긴급 회동을 하는 등 미국과 러시아 간 비밀 거래에 대한 대응책 마련에 나선 이유다. 미국 기업들은 이미 우크라이나 재건사업에 대한 실사 준비를 하고 있다.

우크라이나의 재건사업은 주택 140만 가구를 다시 짓는 데만 686억 달러(약 99조원)가 소요될 전망이다. 여기에 도로 정비와 산업시설 복구 비용까지 합치면 4863억 달러에 달할 것이란 게 한국토지주택연구원의 추산이다.
이번 전쟁으로 무너진 발전시설만 50여 곳이다. 전력망과 송배전 선을 회복하는 데만 최소 57억 달러가 필요하다. 주택 건설과 에너지시설 복구는 국내 기업이 눈독을 들이는 분야다.

하지만 재건사업 기본설계는 미국과 유럽 기업에 돌아갈 수밖에 없다. 우크라이나에 전쟁 물자를 지원한 데다 협상 당사자이기 때문이다.

우리나라 기업의 경우 기본설계를 바탕으로 시공과 기계설비 수주전 참여를 목표로 하고 있다. 이미 건설 장비 기업이 우크라이나에 장비를 반입하고 재건사업을 위한 현지 협력에 나선 상태다.

현대건설은 보리스필 공항 확장과 원자력 전력공사에 참여할 예정이고, 한미글로벌도 재건사업 참여를 추진 중이다.

하지만 우크라이나는 미국과 러시아 간 비밀 거래를 받아들일 수 없다는 입장이다. 유럽 역시 안보와 직결된 문제를 미국과 러시아가 결정하는 데 대해 당황하기는 마찬가지다.

미국의 유럽 안보 무임승차에 대응하는 차원에서 군사력을 강화할 대책도 마련 중이다. 우크라이나 재건을 위한 협상 테이블에 나가려면 미국과의 거래를 피하기 힘들다는 판단에서다. 하지만 유럽이 방위비를 감당할 수 있을지가 변수다.

우크라이나 평화 유지를 위해서는 10년간 100억 달러가 필요하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