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조치로 가장 큰 타격을 입은 것은 다름 아닌 글로벌 공급망이다. 완성차부터 부품까지 국경을 넘나드는 복합망에 의존하는 자동차 산업은, 이 강경한 보호무역 조치 앞에서 갑작스러운 가격 상승과 공급 지연에 직면하게 됐다. 특히 중국산 배터리, 희토류, 전자부품에 대한 관세는 미국 내 전기차 산업에 직격탄이다.
그러나 이 불똥은 미국만의 문제가 아니다. 한국 역시 자유무역 질서 속에서 성장해온 자동차 산업 구조를 갖고 있다. 게다가 한국 자동차 기업 다수는 중국산 소재에 여전히 의존하고 있고, 미국 현지 생산 비중이 낮은 브랜드는 트럼프의 관세 폭풍에서 예외일 수 없다.
여기서 다시 소환되는 이름이 있다. 윤석열 전 대통령. 집권 시절 그는 수출 중심 경제의 구조 변화를 예고했지만, 실제로는 산업 전략의 구체성이 부족했고, 전기차·자율주행 같은 미래차 전환 흐름에서 국가적 방향성조차 뚜렷하지 못했다. 뒤늦게 반도체 지원은 공언했으나 자동차 산업에 대한 전략적 접근은 미미했고, 인플레이션감축법(IRA)과 같은 글로벌 통상 변화에도 능동적으로 대응하지 못했다. 기자의 뇌리에 박혀 있는 건 연두색 번호판으로 얼마 되지 않는 졸부 2세들을 간수하겠다는 공약밖에 없다.
국내에서는 전기차 보조금 제도 혼란, 배터리 소재 확보 지연, 중소 협력사 무관심 등 복합적인 실책이 이어졌고, 그 결과 지금 이 시점에 '글로벌 공급망 충격'이라는 형태로 한국 산업을 다시 압박하고 있다. 트럼프가 공급망을 흔들고, 윤석열 전 대통령이 제대로 다지지 못한 기반 위에서 한국 자동차 산업은 이중의 시험대에 올랐다. 보호무역 물결은 다시 시작됐고, 친환경·첨단 기술을 둘러싼 경쟁은 더욱 가속화됐다. 이 모든 흐름 속에서 남겨진 질문은 단 하나다.
“우리는 과연, 준비되어 있었는가?”
2025년 한국 경제가 세계 질서 재편의 소용돌이 속에서 다시 살아남기 위해선 뒤늦은 후회보다 앞선 전략이 절실하다. 지금이라도.
육동윤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ydy332@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