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글로벌이코노믹 사설] 신흥국 국채에 몰리는 글로벌 투자자금

글로벌이코노믹

[글로벌이코노믹 사설] 신흥국 국채에 몰리는 글로벌 투자자금

 트럼프 정부의 관세정책이 달러 가치를 떨어뜨리면서 미 국채를 더 외면하는 모양새다. 사진=연합뉴스이미지 확대보기
트럼프 정부의 관세정책이 달러 가치를 떨어뜨리면서 미 국채를 더 외면하는 모양새다. 사진=연합뉴스
글로벌 투자자금이 신흥국 통화 표시 국채를 집중 매입 중이다. 글로벌 무역 전쟁으로 개발도상국들이 기준금리를 인하할 수밖에 없을 것이란 기대감 때문이다.

달러 약세와 미국의 경기둔화 가능성이 커진 결과다. 특히 트럼프 정부의 관세정책이 달러 가치를 떨어뜨리면서 미 국채를 더 외면하는 모양새다.

블룸버그 달러 현물지수는 이달 들어서만 약 4%나 하락했다. 4개월간 이어진 하락 추세는 수년간 이어질 수도 있다.

블룸버그 신흥국 국채 지수를 보면 현지 통화 표시 국채는 올해 들어 3.2% 정도 상승했다. 달러 표시 국채가 같은 기간 0.7% 상승한 것과 큰 차이다. 달러 표시 국채의 금리는 7.1% 수준이고, 미 국채도 4.12% 정도다.
현지 통화 국채의 평균 금리 4.03%보다 높다. 국채 금리 상승은 가격 하락을 의미한다. 신흥국들이 달러 표시 국채 발행을 줄인 탓이다. 올해 중국을 제외한 신흥국의 달러 국채 발행액은 51억 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6%나 줄었다.

최근 우리나라 국고채 시장이 금융시장 불확실성 속에서도 초강세를 나타내는 이유다. 글로벌 금융 불안기에는 외인 자금이 이탈하면서 국고채 금리를 끌어올리던 과거와 정반대 현상이다.

5월 금리인하에 대한 기대감과 주요국 통화 중 가장 저평가된 원화 가치가 외국인 매수세를 끌어들이고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한국 국고채 10년물 금리는 4월 초 연 2.808%에서 2.621%로 하락해 3년 만에 최저 수준이다.

미국의 10년물 국채 금리가 같은 기간 0.26%p나 오른 것과 대조적이다. 국고채 3년물 금리도 2.335%로 2022년 3월 이후 최저다.

외국인 매수세는 10년 만기 국고채 선물의 경우 이달에만 6만6525건에 이를 정도다. 순매수 금액도 매달 10조3670억 원 이상이다.

한국의 정부 부채비율이 낮은 데다 금리인하를 예고하고 있고 추경 물량도 많지 않은 게 국고채 인기로 나타난 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