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글로벌이코노믹 사설] 유로화가 안전자산 지위 회복하려면

글로벌이코노믹

[글로벌이코노믹 사설] 유로화가 안전자산 지위 회복하려면

유로화는 트럼프의 관세 전쟁 이후 부활할 기회를 잡았다. 사진은 크리스틴 라가르드 ECB 총재. 사진=AFP/연합뉴스이미지 확대보기
유로화는 트럼프의 관세 전쟁 이후 부활할 기회를 잡았다. 사진은 크리스틴 라가르드 ECB 총재. 사진=AFP/연합뉴스
유로화는 1999년 탄생 이후 글로벌 통화 입지를 놓고 달러화와 경쟁해 왔다. 하지만 2010년대 유로존 재정위기 이후 이런 꿈을 접은 상태다.

유럽중앙은행(ECB)은 연준과 달리 최종 대부자 역할을 맡도록 설계돼 있지 않다. 금융시스템이 국가별로 나뉘다 보니 유동성 위기에도 취약하다.

독일은 국채 발행에 인색하고, 이탈리아·스페인 국채는 신뢰도가 낮다. 유럽 전체가 보증하는 유럽 채권은 존재하지 않을 정도다.

유로화가 달러와 달리 투자자들에게 안전한 자산을 제공하지 못한 이유다. 이런 가운데 유럽 경기가 나빠지면서 장단기 금리는 마이너스 선까지 떨어지는 수모도 당했다. 자산 수익률이 낮아지면서 수요도 급감했다. 유로화가 글로벌 통화 지위를 유지하기도 벅찰 수밖에 없었던 배경이다.
현재 글로벌 국채의 60%는 달러 표시로 돼 있다. 20%에 불과한 유로화 표시 국채로서는 비교조차 어려운 수준이다.

유로화 표시 국채는 미 국채 시장의 규모와 깊이를 대체하기 힘든 구조다. 미 국채의 미상환 잔액은 28조6000억 달러 규모다. 미 국채는 글로벌 금융시장에서 현금과 유사한 역할을 한다.

금융기관과 투자자들이 미 국채를 담보로 사용하거나 결제 수단으로 활용하기 때문이다. 한마디로 미 국채는 금융시스템의 핵심 요소인 셈이다. 반면 유럽 공동채권 잔액은 지난해 말 기준으로 578억 유로에 불과하다. EU 개별 국가의 국채보다도 작은 규모다.

하지만 유로화는 트럼프의 관세 전쟁 이후 부활할 기회를 잡았다. 유로화로 결제하는 상품과 서비스의 양을 늘리면 유로화 자산 수요도 증가할 것이기 때문이다.

ECB 준비금 수요가 늘어나면 글로벌 안전자산 지위를 확보하는 셈이다. ECB는 유럽 은행자산의 82%를 보유한 114개 금융기관을 감독하는 기관이다. 물론 글로벌 통화 지위가 그냥 주어지지는 않는다.

유로권 경제를 성장시키는 게 급선무다. 이어서 프랑스·이탈리아 등의 재정건전성을 확보해야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