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드맥킨지, '한국은 수소경제 로드맵을 달성할 수 있을까' 온라인 간담회 개최..."한국, 10년 후 재생에너지 목표치 거의 근접할 것"

우드맥킨지는 20일 한국, 싱가포르, 중국 등을 온라인으로 연결해 '한국은 수소경제 로드맵을 달성할 수 있을까'라는 제목의 온라인 간담회를 개최하고, 이같은 자체평가 결과를 소개했다.
우드맥킨지는 세계적인 데이터 분석기업인 영국의 베리스크 애널리틱스(Verisk Analytics)의 자회사로, 천연자원 분야에서 공신력 있는 시장조사 데이터와 컨설팅을 제공하고 있다.
이날 간담회에서 우드맥킨지는 '2050년 탄소배출 제로화'라는 세계적 목표 달성에 수소가 주요한 솔루션이라는 전제 하에, 먼저 한국의 '수소경제' 추진 상황부터 평가했다.
첫 발표에 나선 프라카쉬 샤르마 우드맥킨지 리서치 디렉터는 지난해 1월 한국 정부가 발표한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에 대해 "수요, 공급, 기술개발 등 각 분야를 모두 망라한 종합계획으로서 첫 단추를 잘 꿴 계획"이라고 긍정적으로 평가한 뒤 "한국정부가 목표로 제시한 수소차 생산 2022년 8만 1000대, 2040년 620만대는 2050년 탄소 제로 목표에 합리적으로 부합하는 목표치"라고 말했다.
또 샤르마 디렉터는 "온실가스 배출 감축을 부문별로 살펴보면, 승용차, 전력부문에서는 비교적 목표 달성이 쉽지만, 온실가스 배출의 절반을 차지하는 난방, 수송, 산업분야에서의 탈탄소화는 기술적 솔루션이 없거나 사업타당성이 없어 상대적으로 잘 진행되지 않고 있다"며 "이 부문에서 수소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탄소배출 제로화를 위해 중요한 것은 화석연료를 사용하지 않고 생산하는 '그린수소'인 만큼, 수소경제는 재생에너지와 결합해야 큰 시너지 효과를 발휘한다"며 "장기적으로 한국의 그린수소 생산단가는 1kg당 10달러에서 최저 3~4달러까지 떨어질 것이다. 재생에너지 잠재력이 큰 호주는 그린수소 생산가격이 1kg당 3.5달러까지 떨어질 것으로 보이는데, 한국이 국내 수소 수요의 30%를 호주 등 해외에서 수입하겠다는 계획은 적절한 계획"이라고 평가했다.
샤르마 디렉터는 "신재생에너지를 활용한 전력생산비용이 1메가와트시(MWh)당 30달러 이하로 낮아지고, 수전해설비 등 생산설비 효율성 향상과 정부지원이 뒷받침되면 오는 2030년 그린수소 생산비용은 최대 50%까지 감소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두 번째 발표에 나선 알렉스 휘트워스 우드맥킨지 리서치 디렉터는 한국의 재생에너지 목표와 전기요금 상승 여부에 대한 자체 분석을 소개했다.
휘트워스 디렉터는 "한국 정부는 풍력, 태양광 등 신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을 지난해 7%에서 2030년 20%까지 높이겠다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총 460억 달러(약 55조 원)를 투자할 것으로 전망된다"며 "이 목표는 일본에 비해 야심적이고 달성하기도 어렵겠지만, 목표에 거의 가까운 19%까지는 달성할 것으로 전망한다"고 말했다.
지난해 우드맥킨지는 한국의 신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이 오는 2030년 17%를 차지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1년만에 전망치를 2%포인트 올린 이유에 대해 휘트워스 디렉터는 "코로나19로 인해 전력수요가 감소했다"며 "같은 투자를 하더라도 수요가 줄면 비중은 높아질 것으로 전망된다. 또 태양광 발전비용이 지난해 예상보다 더 빠르게 낮아지고 있다는 점도 반영했다"고 설명했다.
또한, 휘트워스 디렉터는 "자체 분석 결과, 한국의 2030년 발전원별 전력생산비용은 1MWh당 석탄은 73달러, 가스 96달러, 태양광 88달러, 육상풍력 57달러, 해상풍력 95달러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소개했다.
특히 "최근 한국이 역점을 두고 있는 해상풍력의 전력생산비용은 현재 1MWh당 180달러에서 10년 후 47% 떨어진 95달러까지 떨어질 것으로 보인다"며 "풍력, 태양광 등 재생에너지가 석탄, 가스와 비교해도 경쟁력을 갖추게 될 것"이라고 휘트워스 디렉터는 전망했다.
나아가 휘트워스 디렉터는 한국이 재생에너지 비중을 2030년까지 급격히 늘리더라도 전기요금은 안정적으로 유지될 것이라 전망했다.
휘트워스 디렉터는 "현재 한국의 전기요금 수준은 일본, 필리핀, 호주 중부지역 등에 비해 낮으며,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중간 수준"이라고 소개하고, "재생에너지 생산비용이 낮아지고 있다는 점 외에 코로나19로 인한 저유가 요인이 더해져 한국의 전기요금은 2030년까지 재생에너지 비중을 19%까지 높여도 안정적으로 유지될 것으로 전망된다"고 말했다.
김철훈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kch0054@g-enews.com